[G20 정상회의 D-1] 언론·국제단체 주문과 기대… “보호무역 확산 막는게 최우선”
입력 2010-11-09 18:01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막이 다가오면서 회의에 대한 세계 각국 정부와 언론, 국제단체에서 주문과 기대가 쏟아지고 있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9일 G20 정상들이 과다한 무역 흑자나 적자를 감시할 ‘조기 경보 체제’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을 수행 중인 가이트너 장관은 인도 뉴델리에서 “(G20 정상회의는) 환율뿐 아니라 다양한 사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도 “세계 경제의 성장 엔진인 무역의 활성화 방안을 반드시 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중국의 주광야오(朱光耀) 재정부 부부장은 8일 내외신 기자 브리핑에서 미국의 조치가 과연 경기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 기축 통화국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미국에 설명을 요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FT는 9일 사설에서 보호무역 확산을 막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G20이 모든 국제 경제 문제의 해결사가 될 순 없지만, 각국이 보호무역으로 빠져드는 걸 막을 수 있다는 점을 놓쳐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국이 빈곤국 지원 문제를 주요 의제로 제안했다”며 “한국은 자신들의 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의 신뢰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라고 주목했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일자리 확충을 강조했다. ILO는 8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올 들어 G20 국가 중 8개국에서 실업률이 줄었지만 10개국은 오히려 증가했다”며 “향후 10년간 전 세계에 필요한 신규 일자리는 4억4000만개인데 G20 국가의 여력은 2억1000만개에 불과하다”고 대책을 촉구했다.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최빈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추가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점검표를 발표했다.
독일 dpa통신은 9일 “G20 정상회의는 한국의 외교적 역량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며 “의장국이자 참가자로서 중요한 중재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