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 D-1] CEO들 “일자리 만들테니 기업에 인센티브 달라”

입력 2010-11-09 22:15


비즈니스 서밋 권고안에 뭘 담나

“세계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세계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주십시오.”

세계 유력기업 CEO 120명이 참석하는 ‘서울 G20 비즈니스 서밋’의 개막을 하루 앞둔 9일 ‘민·관 협력을 통해 세계경제를 성장시키자’는 내용의 권고안 초안이 공개됐다.

권고안은 모두 66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서밋 참여 CEO들은 지난 7월부터 무역투자와 금융, 녹색성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4개 주제를 기초로 12개 워킹그룹을 구성해 의견을 조율해 왔다. 이 권고안을 기초로 11일 열릴 비즈니스 서밋 라운드테이블에서 G20 정상 일부와 CEO 120명의 토론을 거쳐 최종적인 민·관 협력 강화 방안이 도출된다.

초안에는 2011년까지 도하개발라운드(DDR)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G20 정상들이 직접 개입해 달라는 요구가 담겼다. DDR은 시장접근, 경쟁, 서비스 등에 있어 광범위한 무역자유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경제위기 이후 높아진 보호무역 분위기를 해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안에는 또 녹색성장을 위해 인프라 자원개발에 일관성 있는 규제시스템을 도입하고 에너지 분야 기업의 장기투자를 유도해 달라는 요구도 포함됐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설 테니 정부 차원에서 일자리 창출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달라는 요청도 담겼다.

비즈니스 서밋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서밋의 목적은 불황 기간을 줄이고 성장궤도로 가기 위한 것”이라며 “CEO들의 목소리가 글로벌 성장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권고안이 각국의 정책에 얼마나 반영될지 여부다. 민간기업들의 요청인 만큼 각국 정부가 이를 받아들여야 할 의무는 없다. 다만 글로벌 CEO들이 한목소리를 냈다는 점에서 각국 정부가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오영호 서밋 집행위원장은 “각국 정상이 회의에 직접 참석해 CEO들과 서로 토론하고 그 결과를 정상회의에서 다시 논의한다”며 “글로벌 민·관 공조체제가 만들어진 첫 사례로 G20 회의의 완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행히 차기 G20 정상회의 개최국인 프랑스가 비즈니스 서밋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비즈니스 서밋이 정례화될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한편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과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도 서울 G20 정상회의에 맞춰 세계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과 잇따라 만날 예정이다. 어 회장은 해외 선진 금융기업 CEO들과의 면담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국제 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활용할 방침이다. 또 이 회장은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해외 투자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서밋에 초대된 CEO들이 행사 개막을 앞두고 속속 입국하면서 회의 분위기가 서서히 고조되고 있다. 9일에만 이탈리아 최대 에너지 회사 에니의 로베르토 모데스토 폴리 회장, 독일 보쉬의 프란츠 페렌바흐 회장, 도이체방크의 요제프 아커만 회장 등 29명이 서울을 찾았다.

강준구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