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총장 “흔들리지 말고 의연히 대처하라”
입력 2010-11-08 21:51
檢 “강제구인”… 野 “소환 불응-국정조사” 맞불
국회의원 사무실 무더기 압수수색 사태의 파장이 검찰과 정치권의 정면충돌 양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태철)는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로부터 고액 후원금을 받은 의원실의 보좌관, 회계담당자 등을 9일부터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검찰은 청목회로부터 1000만원 이상 후원금을 받은 한나라당 권경석,민주당 강기정 의원실의 회계담당자에게 처음으로 소환을 통보했다. 검찰은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실에도 출석 통보를 할 예정이었지만 내부 조율을 통해 소환일정을 연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대상자들이 소환에 불응하면 체포영장이나 구인장을 발부받아 피의자 신분으로 강제 구인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규 검찰총장은 대검찰청 주례 간부회의에서 “이럴 때일수록 의연히 대처하라. 국민들은 검찰이 흔들리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검찰은 수사로 말해야 한다”며 정치권의 공세에 흔들리지 말 것을 주문했다.
그러나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은 청목회 ‘입법 로비’ 의혹 등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 국회의원 보좌진 소환 등 검찰 조사를 전면 거부키로 했다. 또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창조한국당 등 야5당 의원 112명은 이날 오후 민간인 불법사찰과 ‘대포폰 논란’ 등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국조 요구서에서 “민간인 불법사찰과 관련,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증거를 은폐하고 청와대는 증거 훼손 직전 피의자에게 대포폰을 지급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스폰서 검사 및 그랜저 검사 사건으로 검찰의 신뢰가 추락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야5당은 오전 국회에서 원내대표 회담을 열어 검찰의 부실수사 의혹이 제기된 민간인 사찰 및 청와대 대포폰 지급, ‘스폰서·그랜저 검사’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실시하고, 미진할 경우 특검을 요구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한장희 김정현 전웅빈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