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사역, 소형교회 '활발', 대형교회 '저조'
입력 2010-11-08 17:46
“대형교회들, 노숙인 전문 복지에 관심 없으세요?”
노숙인 주거지원, 자활지원, 동절기 위기대응, 여성 노숙인 지원 등 전문적이고 다양한 복지사업에 대형교회 또는 초교파 교회들의 연합체 단위의 참여가 요구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오후 서울 연지동 기독교회관에서 열린 ‘서울 노숙인 문제와 교회역할 모색 간담회’에서 ‘서울시 노숙인 다시 서기상담보호센터’ 소장인 여재훈 대한성공회 신부는 “교회의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과 현장 실무자들의 전문성이 합쳐진다면 영향력이 대단할 것”이라면서 이렇게 말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선교훈련원과 서울시노숙인복지시설협회(서노협)가 주최한 이 간담회에서 여 신부는 전국 67개 쉼터, 11개 상담보호센터, 10개 쪽방상담소 등 민간 노숙인 복지시설을 조사한 결과를 전하며 “기독교는 시설의 62.8%를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이 분야에 대해 독보적 관심과 참여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교회 중 전체 교인 수가 100명 미만인 소형교회가 53.8%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했다. 성도 300~600명 미만의 교회가 5.1%, 1000명 이상의 교회가 2.6%에 불과한 가운데 소형교회들 위주로 펼쳐지는 노숙인 복지사업은 늘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 신부는 노숙인 복지사업이 소형교회 위주인 이유에 대해 “노숙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한국 교회에도 지배적으로 퍼져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며 이 점을 극복하고 자원이 풍부한 대형교회들이 노숙인 복지에 적극 뛰어들어줄 것을 주문했다.
서노협 서정화 사무국장은 현재 서울 지역 노숙인 복지에 있어 시급한 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여성 노숙인 문제를 지적했다. 지난달 20일 실태조사 결과 여성 거리 노숙인은 58명으로 집계됐지만 기도원, 철야예배장소, PC방, 24시간 패스트푸드점, 작은 건물 계단, 지하철 화장실 등에서 숨어 지내는 여성 노숙인들이 상당수라는 것이다. 이들의 경우 폭력에 노출될 위험을 안고 있어 응급보호의 필요가 있는데 여성 노숙인을 위한 상담보호센터는 없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알코올 중독자 해독센터, 재활 전문 쉼터, 임시주거비 지원사업, 동절기 응급숙박 제공 등 당장 필요한 복지 서비스들을 설명했다.
정부의 노숙인 지원 사업과 예산을 설명하기 위해 참석한 서울특별시 자활정책팀 박노원 팀장은 “노숙인들에게 희망을 주고 자활을 유도하는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교회를 비롯한 민간에서 얻는 경우가 많다”면서 노숙인 사업에 관심을 가진 교회들에게 이 부분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황세원 기자 hsws@kmib.co.kr, 곽새롬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