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목회’ 격랑… 격앙된 野5당, 검찰 배후 청와대 지목하며 협공

입력 2010-11-08 21:42


야권은 8일 청목회 입법 로비 의혹과 관련된 검찰의 국회의원 사무실 압수수색 사태를 초유의 ‘국회 말살’로 규정, 공동 대응에 본격 나섰다. 검찰 수사에 대해 가장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민주당의 대표와 원내대표 ‘투톱’은 야권 공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원내대표를 잇따라 만나 “민간인 사찰 및 ‘대포폰 게이트’, 스폰서 검사·그랜저 검사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촉구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합의 사항을 이끌어냈다.

손학규 대표는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명박 정권의 공안통치와 입법권 침해를 저지하기 위해 전면적 정당 연대가 필요하다”고 역설한 뒤 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와 긴급 회동을 가졌다. 손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제1야당과 제2야당이 힘을 모으면 야당 전체가 힘을 합칠 것”이라며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이 힘을 합쳐 세종시를 지켜낸 만큼 국회 유린 사태에도 자유선진당이 민주주의를 지키는 굳건한 보루 역할을 해 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표는 “손 대표와 나는 오랜 인연이 있는 만큼 생각하는 것에 그리 큰 차이가 없다”며 “목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각자의 입장과 당의 입장은 다를 수 있지만 공동의 가치를 공유하는 방향에 큰 차이는 없다”고 화답했다.

민주당은 오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지도부 등 3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국회 유린 정권 규탄 및 4대강 대운하 예산저지 결의대회’를 가졌다. 또 오후에는 의총을 열어 검찰 수사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의총에서는 예산국회 보이콧과 농성 등 초강경 목소리가 터져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일단 김준규 검찰총장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김 총장이 거부할 경우 이귀남 법무장관 해임건의안 및 김 총장 탄핵소추결의안까지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또 예산국회 대응 방침과 관련해선 대정부 긴급 현안질의를 위한 본회의를 요청키로 했으며, 일단 9일 하루 상임위 소집에 응하지 않기로 했다. 박 원내대표는 “상임위가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이 강경 대응에 나선 것은 검찰의 대대적인 정치권 사정이 ‘야당 탄압용’이라는 의구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 지도부는 검찰 수사 배후로 청와대를 지목했다. 손 대표는 이회창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청와대는 모른다고 하지만 정말 청와대가 모르는 상태에서 검찰이 국회를 압수수색했다면 이것이야말로 정말 중대한 문제다. 우리가 검찰공화국에 살고 있느냐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된다”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표도 라디오에 출연, “(검찰 수사의) 가장 큰 목적은 현재 국회를 무력화시켜 예산과 4대강, 남상태 로비 의혹과 대포폰 등을 일거에 막아보려는 고도의 기획사정”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검찰의 청목회 수사 방식에 상당한 불만을 표시했다. 안상수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예산국회를 앞둔 시점에서 압수수색 같은 검찰의 수사 방법은 신중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면서 “검찰이 의원 사무실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한장희 강주화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