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카페] 기업 절반 “인터넷 언론 피해 경험”
입력 2010-11-07 18:11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42개 회원사를 조사한 결과, 159개사(46%)가 인터넷 신문에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피해 내용의 대부분은 오보·왜곡 보도(46%)와 강압적인 협찬·광고 요구(45%)였으며, 금품이나 향응을 요구하는 경우(8%)도 있었다.
전경련에 따르면 A사는 인터넷 언론 B사로부터 “부정적인 기사를 준비했는데 광고를 주면 싣지 않겠다”는 제의를 받았다. A사가 응하지 않자 B사는 뜬소문을 기사화해 포털사이트에 올렸다. A사는 잘못된 기사내용을 고쳐 달라고 요청했으나 B사는 그 대가로 협찬금을 요구했다. 언론사에 법적 대응을 하기가 부담스러운 A사는 결국 협찬금을 주고 무마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듣도 보도 못한 군소 인터넷 언론으로부터 당하는 피해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전경련 조사 결과, 회사나 경영진에 대한 부정적 기사 게재를 빌미로 광고·협찬을 요구하는 경우 이를 받아주는 기업은 4분의 1에 달하는 반면 법적 대응을 불사하는 기업은 3%에 불과했다. 소송절차가 복잡하고 피해구제 가능성이 낮은 데다 보복기사에 대한 우려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응하고 있는 것이다.
응답 기업의 50%는 인터넷 언론의 문제점을 줄이는 방안으로 인터넷 신문 설립요건 강화와 퇴출제도 정비 등 규제 강화를 제시했으며, 23%는 포털 업체의 책임 강화를 주문했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경련 경제홍보협의회는 인터넷 신문, 광고주, 언론재단 등이 함께 참여하는 민간자율 논의기구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칭)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이 기구를 통해 인터넷 신문 관련 규제를 강화해 나가자는 주장이다.
천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