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車 연비 완화’ 美 요구 수용 가닥… 韓-美, 8일 FTA 타결 시도
입력 2010-11-05 21:47
한국이 자동차 연비기준을 완화해 달라는 미국의 요구를 일부 받아들이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분위기가 무르익어 가고 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5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한·미 FTA와 관련해 우리 정부도 자동차 연비 규제 면에서 규정을 바꾸고 있기 때문에 서로 협의해볼 여지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석영 FTA 한국 교섭대표는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웬디 커틀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보와 이틀째 실무협의를 갖고 FTA 협정문을 수정하지 않고 미국 측이 수정안으로 제시한 자동차 환경기준의 적용 기준 완화 방안을 협의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국산 픽업트럭의 관세 25%를 10년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당초 합의문의 조항을 고쳐 △현행 관세 유지 △10년간 단계 폐지 일정 연장 △스냅 백(철폐관세 환원조치) 적용 등으로 수정하자는 미국 측 요구안에 대해서는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한·미 양국은 이견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주말에 추가 협의를 한 뒤 8~9일 열리는 양국 통상장관 회담에서 담판을 벌일 예정이어서 어떤 식으로든 합의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크다.
미국 측에서도 자동차와 관련한 논의가 진전을 보인다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FTA협상 타결이 가능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미 백악관의 로버트 기브스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G20 회의로 방한하는 기간 중 FTA협상 타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자동차업계와 자동차 산업 근로자에게 반하는 것이라고 느끼는 협정에 진전이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