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과학수사대상 대통령상 표창 받은 국방부 과학수사연구소
입력 2010-11-04 22:09
첨단 기법-끈질긴 연구, 군사작전 방불
국방부 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가 4일 경찰청이 주관한 제6회 과학수사대상 시상식에서 법과학 분야 대통령상 단체표창을 수상했다. 국방부 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는 군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사건과 사고의 원인을 과학적인 기법으로 밝혀내는 곳이다.
양승주(공군 대령) 과학수사연구소장은 연구소가 ‘디지로그 수사작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첨단과학기법과 군 특유의 치밀하고 끈질긴 연구 자세가 결합된 방법으로 군사작전 못지않은 강도로 연구와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수사가 시작되면 연구원들은 밤을 꼬박 새우기 일쑤다.
연구소는 법과학부와 법의학부로 나뉘어 있다. 법과학부 과장들은 모두 박사들로 20∼30년간 이곳에서 근무한 베테랑이다. 법과학부는 2008년 북한 금강산 관광지구에서 발생한 한국인 관광객 박왕자씨 피살 사건을 재연 실험해 박씨의 피살 상황을 밝혀냈고 2005년 발생한 육군 28사단 GP(경계초소) 총기사고 때는 총기의 발사각도와 수류탄 폭발 현장감식을 통해 사건 상황을 정확히 분석해 내기도 했다.
법의학부는 유전자(DNA) 분석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유전자분석팀은 6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팀의 안희중 박사는 3년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국방부로 자리를 옮긴 DNA 분야 전문가이다. 안 박사가 이끄는 유전자분석팀은 2008년 네팔에서 유엔 헬기 추락 시 투입돼 1주일 만에 DNA 검사를 통해 10구의 시신 가운데 5구의 신원을 밝혀냈다.
안 박사는 “당시 네팔에서 가장 가까운 인도의 연구소는 DNA 분석에 6개월이 걸린다고 했고 첨단 기술을 지닌 스웨덴 연구팀은 각종 장비를 이전해 와야 분석이 가능하다며 수개월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며 “유가족들이 예상치 않게 빨리 신원을 파악해 시신을 수습할 수 있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해왔을 때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법의학부는 3년 전부터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의뢰를 받아 6·25전쟁 때 사망한 유해의 DNA를 분석, 신원을 파악해주고 있다. 현재까지 DNA 분석을 통해 신원이 밝혀진 유해는 29구에 달한다.
최근 연구소는 거짓말 탐지기보다 신뢰도가 높은 뇌파분석 프로그램을 국내 최초로 개발해 저작권을 획득하기도 했다. 이 프로그램을 총괄한 박판규 실장은 “검사 대상자가 영상을 보는 즉시 뇌파반응이 나오기 때문에 조작이나 은폐가 불가능하다”며 “사건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