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전직 장관 대거 초빙… 徐총장 인맥관리용 ‘눈총’
입력 2010-11-02 21:33
강의 안한 비전임교수 고액연봉 파문
교육과학기술부가 카이스트에 대해 감사의 칼을 꺼내들었다. 교과부는 감사에서 카이스트가 초빙교수·전문교수 등 비전임직 교수에게 기준 없이 돈을 지급한 사례가 적발되면 정부 지원금 축소 등 고강도 제재를 취할 계획이다. 상황에 따라 카이스트 정부 지원금 전체에 대한 감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인맥 다지기용’ 목적 아닌가 의혹=교과부는 카이스트에 출연금 형식으로 2008년 1149억5400만원, 2009년 2000억7600만원, 올 들어 1450억1900만원을 지급했다. 이 돈은 카이스트의 경상 운영비와 일부 연구비로 쓰인다. 카이스트는 교과부 예산 외에도 기업으로부터 산학연구비와 후원자들로부터 기부금 등을 받고 있다.
카이스트 비전임직 교수 연봉 문제는 박영아 한나라당 의원이 지난달 22일 국정감사장에서 제기했다. 교과부와 정치권에서는 카이스트에 들어가는 막대한 지원금이 줄줄 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강의를 하지 않는 비전임직 교수에게 연봉을 지급한 것은 서남표 총장 등 카이스트 고위 관계자들의 ‘인맥 다지기용’이라는 추측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전 정부 인사들이 초빙교수로 대거 발탁된 배경에는 서 총장의 개인적 인연뿐 아니라 보은 성격이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한 대학 교수는 “초빙교수에게 이렇게 많은 돈을 준 것은 로비성 자금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현 정부 인사로는 세종시 수정안 실무 작업을 주도했다가 공직에서 물러난 서종대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이 초빙교수로 카이스트에 최근 임용돼 728만원을 받았다. 서 전 차장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도시개발에 대한 특강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최근 3년 동안 강의를 한 번도 하지 않았지만 연봉을 지급받은 비전임 교수 65명에 대해 감사가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자문 등에 대한 수당 반박=카이스트는 지난달 25일 서 총장 주재로 대책회의를 갖고 감사 준비에 착수했다. 카이스트는 “해당 초빙교수들이 수업을 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연봉은 정책자문, 비정기 특별강연, 연구지도 등에 대한 수당으로 지급됐다”고 해명했다.
카이스트 관계자는 “김우식 전 부총리는 2008년 카이스트가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을 설립할 때 정책 자문을 했다”면서 “이규성 전 재경부 장관도 금융비전 포럼을 이끄는 등 카이스트를 위해 많은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교수 출신 중에도 초빙교수로 재임용돼 거액을 받은 인사가 있었다. 신영식 교수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2년 동안 9학점 강의를 하고 4억2133만원을 받았다. 카이스트 관계자는 “신 교수가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WCU) 육성 사업 참여 교수라 많은 돈을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이스트는 카이스트 박사 출신으로 하버드 의대 교수로 임용된 윤석현 초빙교수 같은 긍정적 사례가 더 많은데도 비전임직 교수들이 모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비치는데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러나 한 변호사는 “자문을 받았다면 법적으로 자문 계약을 하고 자문료를 줘야 했는데 초빙교수로부터 자문을 받아 연봉 형식으로 돈을 준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서울·대전=하윤해 임성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