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신한 빅3’ 소환앞선 최종 물증잡기… 횡령수사 가속도

입력 2010-11-02 22:00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 신상훈 지주 사장, 이백순 신한은행장 등 ‘신한 빅3’ 집무실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은 소환조사에 앞선 사전 정지작업이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이중희)는 지난주 열린 신한금융 이사회를 예의주시하면서 압수수색 시기를 조율해 왔다. 신한금융이 이사회를 통해 자율적으로 내부 분란을 수습할 때까지 기다린 뒤 회장 직무대행 체제가 출범하자 강제수사에 나선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2일 “(압수수색에)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했다”며 “라 회장 사퇴를 예상하지 못했지만 이사회 뒤에 압수수색하겠다는 계획대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빅3 혐의 및 의혹은=이번 사건은 지난 9월 2일 신한은행이 신 사장을 배임·횡령 혐의로 고소·고발하면서 시작됐으나 또 다른 의혹과 고발 건이 겹치면서 빅3 전체에 대한 수사로 이어졌다.

신 사장은 은행장 재직 시절 레저업체인 금강산랜드와 투모로그룹에 438억원을 부당 대출하고, 신한은행 이희건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자문료 15억여원을 횡령한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신 사장은 고소당한 직후 “라 전 회장이 자문료 중 5억원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면서 횡령 의혹은 라 전 회장에게까지 번졌다. 라 전 회장은 여기에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차명계좌로 50억원을 송금한 사실과 관련해 시민단체로부터 금융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고발됐고, 추가 차명계좌 의혹까지 제기됐다.

신 사장을 고소한 이 행장 역시 수사 대상이다. 이 행장에게 제기된 의혹은 신한금융 재일교포 주주들로부터 5억원을 받고, 이 명예회장에게 지급될 자문료 중 3억원을 빼돌렸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이 행장이 3억원을 재래시장에서 현금화한 뒤 정권 실세에게 전달했다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차례로 소환, 조만간 결론=검찰은 이미 신한금융 고소·고발 건이 접수된 이후 2개월간 자료 분석과 참고인 조사, 피고소인 조사 등을 통해 사실관계를 대부분 파악했다. 검찰은 부당대출에 관여한 의혹이 제기된 신 사장을 첫 번째로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이미 신한은행으로부터 거액을 대출받은 국일호 투모로그룹 회장을 횡령 혐의로 구속한 상황이다. 검찰은 신 사장을 상대로 투모로그룹 대출 경위 등을 구체적으로 캐물을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신 사장이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게 드러날 경우 사법처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라 전 회장과 이 행장 역시 수사 결과 횡령 혐의가 입증된다면 ‘신한 빅3’가 모두 사법처리되는 유례없는 사태를 맞을 수 있다. 검찰 관계자는 “곧 결론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석조 기자 stonebir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