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檢때리기’… 칼날 무뎌지나
입력 2010-11-01 18:16
안상수 “집권당 대표로 경고”-손학규 “野 탄압땐 불용”
정치권이 검찰의 ‘소나기 사정(司正)’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여당 대표까지 검찰을 공격하면서 수사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특히 검찰이 성역 없는 수사 의지를 밝힘에 따라 정치권과 정면충돌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1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이하 청목회)의 여야 의원 후원금 제공 수사와 관련, “검찰이 10만원짜리 후원금을 받은 걸 갖고 뇌물이다, 아니다 하며 계좌까지 들여다보는 것은 지나치다”며 “정말 잘못한 게 있다면 조용히 수사해 처리하면 될 것이지 수십명을 불러 조사한다는 것은 검찰이 국회의원들을 너무 경시하는 것 아니냐”고 격한 감정을 토로했다. 안 대표는 이어 “검찰이 정치인을 범죄시해 지나치게 수사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만일 검찰이 무차별적으로 의원 망신 주는 수사를 계속한다면 국회 차원에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집권여당 대표로서 검찰에 경고한다”고 했다.
청원경찰법 개정 당시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이었던 조진형 의원도 “서민 중의 서민인 청원경찰들을 위해 반드시 통과시켰어야 했던 법으로, 조금의 후회도 없다”며 “그 과정에서 불법은 없었다”고 말했다.
여당의 ‘검찰 때리기’에 야당도 적극 가세했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명박 정부가 실정을 호도하기 위해 실정을 파헤치는 야당 정치활동을 탄압하려는 것이라면 국민이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청목회 관련은 정당한 입법활동”이라며 “정치자금법에 따라 10만원의 후원금을 받은 것도 문제가 된다면 의정활동을 하지 말고, 후원회모금법도 고쳐야 한다”고 반발했다. 민주당 내에서는 검찰 개혁론도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이에 검찰은 공식 대응을 자제했다. 김준규 검찰총장을 비롯한 대검 수뇌부는 특별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범죄 혐의가 있다면 성역 없는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일선 검사는 “정치권 반발에 개의치 않고 사정 수사는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에서 사정 드라이브를 거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데 전혀 근거 없다”면서 “의도를 갖고 한 게 아니라 검찰의 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귀남 법무장관은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청목회 수사와 관련, “의원들이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도록 소환 및 수사를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말했다.
김나래 김정현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