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세 논란’ 뒤숭숭한 한나라… C& 수사 등 정치권 확대 촉각

입력 2010-10-31 18:30

국회가 1일부터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을 출석시켜 대정부질문을 벌인다. 김 총리의 취임 후 첫 국회 답변인 데다 새해 예산안과 쟁점 법안의 본격 심사를 앞두고 있어 여야 간 공방전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여당은 감세철회·개혁공천 문제 등으로 논란이 이어지고 있고, 야당은 검찰 수사가 자신들을 겨냥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갖고 있어 다소 뒤숭숭한 분위기다.

한나라당은 감세 논란과 공천 개혁 등 민감한 정치 현안을 두고 당내 찬반 의견이 갈리며 뒤숭숭한 분위기다. 검찰 수사가 정치권으로 확대되는 모습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C&그룹과 태광그룹 등 대기업에 이어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의 입법로비 의혹, 경기도 고양 식사지구 재개발사업 비리 의혹까지 터지자 불똥이 튈까봐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특히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 일부 의원들은 검찰 수사 방향에 의혹을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다.

당내 소장파를 중심으로 불거진 감세정책 철회 논란은 당 정체성에 관한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안상수 대표가 새로운 당 정체성으로 제시한 ‘개혁적 중도보수’ 노선이 기존 보수의 핵심 가치인 ‘성장론’과 충돌하는 모양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은 정부에서 감세정책 철회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고, 당 지도부도 적극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불씨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31일 “부자감세 철회 정책은 당 대표가 표방한 중도개혁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도의 상징적인 조치”라며 “정부와 여당의 몇몇 고위 인사들에 의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라 당의 국회의원과 원외위원장의 총의를 모아 결정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소장파 의원들도 대정부질문 기간 정부를 상대로 부자감세 철회를 거듭 요구할 것으로 보여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나라당 공천제도개혁특위가 제안한 공천제도 개선안도 내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개선안은 국민경선을 통한 국회의원 후보자 선출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고비용 선거 구조에 따른 부작용, 야당과의 조율 난항 등을 이유로 부정적인 당내 의견도 많다. 또 현역 의원과 정치 신인, 수도권과 영남 의원 등 각자의 유불리에 따라 공천제도 개선안에 대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특히 18대 총선 공천을 계기로 갈등의 골이 깊어진 친이계와 친박계가 차기 총선 공천을 놓고 정면충돌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개선안 채택까지는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된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