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DMZ 총격에 정치적 응징 필요하다

입력 2010-10-31 19:26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10여일 앞둔 29일 북한이 강원도 최전방 GP에 기관총을 발사한 행위는 우발적인 일로 보기 어렵다. 만약 사상자가 나왔다면 한반도의 군사적 불안정성이 부각돼 G20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는 일이다. 북한의 새로운 군사 도발 가능성에 만전의 대비를 해야 한다.

그 며칠 전 남북 적십자회담에서 대규모 쌀과 비료 지원을 요구했던 북한은 이번 총격으로 체질적인 이중성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더구나 다음날 금강산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린다는 것을 알고 있을 텐데도 총격을 서슴지 않았다.

총격 당일 북한은 최근 제안한 군사 실무회담 개최가 거부되자 “대화 거절로 초래되는 북남 관계의 파국적 후과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통감하게 될 것”이라고 협박했다. 회담을 제의한 북측 전통문은 천안함 사건 책임을 우리 측에 전가했다. 북한의 태도가 그럴진대 회담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북한의 상투적 주장이나 듣고 말 게 뻔하다.

비무장지대(DMZ)에서 북한의 총격은 2007년 8월 이래 3년여 만이고 천안함 폭침 후 북한 도발은 두 번째다. 지난 8월 서해에서 한·미 연합훈련이 끝나자마자 해안포를 발사해 10여발이 북방한계선(NLL) 남쪽에 떨어졌다. 당시 대응사격이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됐지만 이번에는 불씨를 던진 북한의 의도를 간파하고 절도 있게 대응사격을 했다.

그러나 교전규칙에 따른 군사 대응과 별개로 정치적 대응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북한이 도발을 하면 할수록 쌀과 비료 지원은 멀어진다는 것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