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부당대출 파장 어디까지…

입력 2010-10-29 22:52

우리은행의 C&그룹 부당대출 의혹을 둘러싼 파장은 어느 선까지 미칠까. 검찰은 임병석 C&그룹 회장이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2007~2008년 자사 임원들을 동원해 금융권 대출에 사활을 걸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검찰은 C&그룹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의 대출 경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감사원의 우리은행 감사 결과도 되짚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병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우리금융지주 회장 시절 C&그룹에 대출이 쉽게 되도록 은행 고위임원에게 지시했다는 의혹으로 감사원 감사를 받은 적이 있다. 물론 감사원은 우리은행이 2008년 C&그룹에 부당대출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지만, 박 전 수석은 대출 과정에 개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도 29일 “박 전 수석은 현재로서는 수사 대상이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임 회장이 그룹 계열사가 장부상 거액의 손해를 본 것처럼 꾸며 비자금을 조성했는지도 수사 중이다. 기업들은 당해 실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적자를 결손금으로 처리해 재무제표에 반영한다.

실제 주력 계열사들은 2008년에 전년 대비 최고 31배 이상 결손금이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감사보고서를 보면 C&우방랜드의 결손금은 2007년 23억원에서 2008년 718억원으로 31.5배 폭증했다. C&라인은 76억원에서 917억원으로 12.1배, C&상선은 111억원에서 1106억원으로 10배, C&중공업은 104억원에서 713억원으로 6.9배 급증했다. 신우조선해양도 34억원에서 264억원으로 7.7배 급증했다.

그룹 계열사들이 2006~2008년 총 1200여억원을 빌려 줘 비자금 창구로 의심받는 부동산개발업체 남부IND는 연간 매출액이 6600만~8900만원에 불과했지만 2005년 4억원을 시작으로 2008년 173억원까지 4년간 310여억원을 결손금으로 처리했다. 검찰 관계자는 “비자금 조성 때 회사가 손실을 입은 것처럼 결손 처리하는 수법이 종종 동원된다”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