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금강 보·준설 반대”… 대립 심화
입력 2010-10-30 00:31
안희정 충남지사가 4대강 사업의 핵심인 ‘보 건설’과 ‘대규모 준설’에 반대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
국토해양부가 4대강 사업에 반대한 경남도에 대해 ‘사업권 강제 회수’라는 초강수로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충남도의 이번 결정으로 정부와 지자체 간 4대강 충돌이 격화될 전망이다.
안 지사는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보 건설이 수질악화는 물론 집중호우 시 범람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충남 4대강(금강) 사업 재검토 특별위원회 의견과 여론조사 결과를 도의 공식 입장으로 확정하고 다음주 초 정부와 국회에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 지사는 “(세종시에 건설되는) 금남보의 경우 일단 계획대로 완공한 뒤 2∼3년간 수질과 홍수예방 등의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금강보와 부여보는 일단 공사를 중단한 뒤 금남보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건설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남도가 최근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금강사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문제가 있으므로 재조정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39.6%, ‘무조건 중단해야 한다’는 22.9%인 반면 ‘계획대로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29.1%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경남도와는 달리 충남도의 4대강 사업권 회수를 하지 않을 방침이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이날 “금강 4개 공구는 사업이 잘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당장 사업권 회수 등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경남도의 낙동강 사업권 회수 방침을 정했던 명분은 ‘사업 지연’이었다. 경남도가 사업권을 대행하고 있는 13개 공구의 공정률은 15.6%로 낙동강 전체 공정률(30.0%)과 4대강 전체 공정률(31.4%)의 절반 수준이다. 반면 현재 금강의 공정률은 37.8%로 4대강 중 공사 진행이 가장 빠른 상태다.
하지만 충남도가 실질적으로 4대강 사업에 제동을 걸 경우 국토부의 입장은 180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리 목표는 4대강 사업을 제 시간에 완료하는 것”이라며 “공정에 차질이 생긴다면 이를 바로잡고 제대로 시행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김도훈 기자,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