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日 정상, 6자 관련…“회담 위한 회담은 않겠다”
입력 2010-10-30 00:30
한국 일본 중국 3국 정상들은 29일 북핵 6자회담과 관련, ‘회담을 위한 회담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진전된 성과를 내기 위한 회담을 열자’고 합의했다.
이명박 대통령과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이날 오후 베트남 하노이 한 호텔에서 한·일·중 정상회의를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3국 정상이 ‘성과를 내기 위한 6자회담’에 합의한 것은 ‘핵문제 진전을 위한 사전조치 없는 무조건적인 6자회담 재개는 어렵다’는 한국의 입장이 반영된 측면이 있다. 3국 정상회담에서는 환율이나 중·일 영토 분쟁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
앞서 한국과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은 양자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하노이 국립컨벤션센터에서 제13차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열어 관계 격상에 합의하고, 공동선언과 행동계획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천연자원의 보고(寶庫)인 동남아 10개국 간 협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3대 세습 체제와 관련, “북한은 아직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강력한 통치권하에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급격하게 바뀔 것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한의 도발이 언제든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도발을 억제하고 대비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한반도에서 전쟁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통령은 북한과 중국의 연대 강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중국은 김정일에게 ‘개방하고 국제사회에 나오면 이렇게 잘 살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서울 G20 정상회의 전망에 대해 “글로벌 임밸런스(세계적 불균형) 문제는 경주 회의에서 예시적 가이드라인에 합의했다”며 “서울 정상회의에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논의하기보다 진전을 만들기 위한 발판이 마련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하노이=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