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몰락시기에 수천억대 특혜성 대출
입력 2010-10-28 00:33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C&그룹 수사가 회삿돈 유용, 대출 비리, 주가 조작 등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검찰은 C&그룹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경영난을 겪던 2007~2008년 상황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당시 임병석 회장 등이 돈을 빼돌려 제 몫을 챙기는 등 각종 위법행위를 한 것으로 검찰은 판단하고 있다.
검찰은 2007~2008년 사이에 임 회장의 횡령·배임과 비자금 조성이 집중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고 있다. 임 회장은 2004년 우방, 2006년 효성금속 등을 인수할 때 해당 기업의 자산을 유용해 인수·합병(M&A)하는 수법으로 피인수 기업의 부실을 초래한 사실이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부실 계열사를 그룹 내 돌려막기식으로 지원해 우량 계열사들의 연쇄 부실을 초래하기도 했다. 2007년엔 C&우방의 재무 상태를 부풀려 금융권에서 1300여억원의 대출을 받았다. 검찰은 이런 과정에서 임 회장이 해외법인을 이용해 회삿돈을 빼돌려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이 몰락해 가는 상황에서도 C&그룹은 금융권에서 수천억원대의 대출을 받았다. 특혜성 부당대출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2006~2007년 농협이 백화점 신축 비용 명목으로 그룹에 500억원대의 특혜성 대출을 해 준 의혹도 제기됐다.
제2 금융권 대출 경위도 수사선상에 올랐다. 검찰은 뒤늦게 조선사업에 뛰어든 C&중공업이 2007년 그리스의 한 해운업체에서 선박 건조대금으로 받은 선수금 1268억원에 대해 우리은행이 선수금환급보증(RG)을 해 주고, 메리츠화재가 그 보험을 인수한 경위를 살펴보고 있다. 2007년은 세계 금융위기가 시작되면서 조선업황이 꺾이기 시작한 때였음에도 무리하게 보증을 서 준 게 아니냐는 것이다.
검찰이 이날 전남 목포의 C&중공업 사무실과 임 회장의 개인 회사로 알려진 여수의 광양예선 사무실 두 곳을 압수수색한 것도 그런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광양예선은 임 회장이 비자금을 숨겨두는 ‘저수지’로 활용했을 것으로 검찰은 의심하고 있다.
그룹 차원의 주가조작 의혹도 조사대상이다. 지난해 5월 그룹 핵심 계열사인 C&중공업, C&우방, C&상선이 증시에서 퇴출됐다. 그런데 이들 기업이 상장폐지되기 전 6개월간 주식 거래를 보면 C&우방랜드, 진도F& 등 그룹 계열사가 C&우방 주식 730만주, C&상선 주식 2782만주를 내다팔았다. C&우방 전체 주식의 31%, C&상선의 14%에 달하는 물량이다. C&중공업 주식 334만주도 매각됐다.
그룹 차원에서 상장폐지를 앞둔 계열사의 내부사정을 이용해 보유 주식을 미리 내다팔아 손실을 최소화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이유다.
김정현 노석조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