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방향, 박연차 게이트 닮아가나

입력 2010-10-27 18:23

임병석 C&그룹 회장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지난해 ‘박연차 게이트’와 비슷하게 흘러갈지 주목된다.

검찰의 피의자 신병확보 과정은 2008년 12월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 구속과정과 비슷하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지난 23일 임 회장을 일단 구속해 신병부터 확보했다. 구속 당시 혐의는 사기였다. 확실한 증거가 있는 혐의로 구속영장을 발부받은 뒤 비자금 조성, 정·관계 로비 여부를 수사한다는 것이다.

박 전 회장 구속 때도 혐의는 조세포탈과 뇌물공여였다. 이후 구치소에 수감된 박 전 회장을 계속 불러 조사하면서 사건은 게이트급으로 커졌다. 결국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태광실업의 비자금 은닉처로 홍콩법인 APC를 지목한 것과 최근 C&중공업 중국법인의 비자금 관련성을 들여다보는 것도 비슷하다.

박 전 회장 진술로 여러 정치인이 사법처리됐듯 이번 사건도 정·관계 로비를 밝혀내려면 임 회장의 적극적인 진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검 중수부에서 매일 조사를 받는 임 회장은 아직 정·관계 로비에 대해 거의 진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임 회장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인사들을 조사하면서 압박하고 있다.

결국 C&그룹의 정·관계 로비 의혹 규명은 임 회장의 입에 달려있다. 검찰 관계자는 “기업을 경영해 본 사람은 구속 뒤 검찰 조사를 받을 때 재기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둔다”며 “회사 횡령이 아닌 임 회장 개인 횡령과 같은 치명적 증거를 들이대면 형량과 추징액을 의식해 진술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용훈 기자 co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