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해외법인도 캔다… 검 “비자금 창구역” 진술확보

입력 2010-10-27 00:53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26일 임병석 C&그룹 회장이 핵심 계열사의 해외법인에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 중이다.

검찰은 C&중공업(옛 진도)이 1992~1994년 중국 해운업체와 합작해 중국에 설립한 세 곳의 컨테이너 공장 소유 계좌를 통해 임 회장이 수백억원대 비자금을 관리한 단서를 잡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검찰은 최근 그룹 고위 임원을 불러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런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C&중공업이 중국 법인에서 나오는 수익을 회사 수익에 포함시키지 않고 장부에서 누락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자금난이 심각했던 C&라인에 그룹 계열사들이 채무 변제용으로 지원했던 돈도 해외법인을 통해 빼돌려졌는지 살펴보고 있다. 검찰은 그룹 해외법인의 재무·회계를 담당한 국내외 임직원들을 소환해 사실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다.

2008년 우리은행이 2007년 C&구조조정 유한회사가 보유주식을 담보로 500억~765억원 규모의 대출을 신청하자 은행법을 어기고 유효담보가액의 2.34배에 달하는 625억원을 대출한 사실을 감사원이 적발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에 검찰은 우리은행의 C&그룹 대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박해춘 전 우리은행장과 동생 박택춘 전 C&중공업 사장의 직접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소환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태광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원곤)는 오용일 부회장을 소환해 조사했다. 오 부회장은 그룹의 재무 관련 실무를 총괄한 인물로 이번 사건의 핵심 관계자로 꼽혔다. 또 한화 김승연 회장의 비자금 의혹 수사와 관련, 금춘수 한화그룹 경영기획실장도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김 회장의 최측근인 금 실장에게 한화 측이 차명 주식계좌 수십 개를 운용해 조성한 비자금 규모 등을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현 박지훈 기자 k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