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의 날’ 제정 캠페인 10년째 벌이는 독도수호대 김점구 대표
입력 2010-10-24 19:32
“왜 우리 정부는 독도를 우리 땅이라고 떳떳하게 말하지 못합니까? 우리 땅을 지키려면 국가에서 가장 먼저 발 벗고 나서 우리 땅이라고 선언해야 하지 않습니까?”
24일 오전 서울 청량리동 독도수호대 사무실에서 만난 김점구(44) 대표는 ‘독도의 날’ 제정이 수년째 정치권에서 미뤄지는 상황을 개탄했다. 1900년 공포된 대한제국 칙령의 제정일인 10월 25일을 국가제정 독도의 날로 정하자는 운동을 시작한 지 10년이나 됐는 데도 관련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을 그는 이해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2000년 3월 독도수호대를 출범시킨 김 대표는 그해부터 10월 25일을 독도의 날로 정하고 이를 알리는 캠페인을 벌였다. 민간 차원 기념일에는 한계가 많았다. 일본의 독도 관련 망언이 이어질 때에만 들고 일어나는 국민 정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국가기념일로 정해 1년에 한 번이라도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기념하자는 취지로 2004년부터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한 활동을 폈다. 독도의 날 알리기 1000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했고, 2004년 12월과 2008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국회 청원을 제출했다.
2008년 청원에는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 등 국회의원 78명의 서명을 받아 청원서를 냈으나 무산될 위기다. ‘시마네현이 2005년 지정한 다케시마의 날보다 제정이 늦다’는 이유로 다른 독도 단체들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단체의 주장에 동참해 독도수호대의 청원에 반대서명한 의원은 109명인데, 이 중 22%인 24명의 의원은 독도수호대 청원에도 서명했다.
“정말 웃을 수 없는 슬픈 코미디죠. 독도의 날 제정 청원에 서명해 놓고, 그 청원에 반대하는 안에 또 서명한 의원이 그렇게 많다니. 우리 정치인들이 독도에 얼마나 관심이 없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김 대표는 독도 문제 해결의 가장 큰 걸림돌은 일본의 억지가 아닌 우리의 비논리적이고 감정적인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누구나 독도를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독도 관련 단체들조차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감정적인 주장을 펴고 있다”며 “이제라도 정치인들과 민간단체들이 앞장서 독도 문제를 진지하고 냉철하게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독도의 날 제정과 함께 독도 영토 표석을 원래 상태로 되돌려 놓는 일도 추진하고 있다. 독도 동도(東島) 선착장 인근 해안에 있는 영토 표석은 폭 63㎝, 높이 111㎝인 화강석에 세로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독도지표’라고 한자로 새겨져 있었다. 한국전쟁 직후인 50년대 초반 세워졌으나 59년 태풍 사라로 기단부가 떨어져 나가 인근 해안에 파묻혀 있는 상태다.
글·사진=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