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관광업무 놓고 部處 타령할 때 인가

입력 2010-10-24 17:42

관광산업은 21세기의 전략산업이다. 무엇보다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다. 관광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전체 산업평균 0.787을 넘어서는 0.855로 나타났다. 녹색성장을 이끄는 상징성도 있다. 문화유산과 생태, 스포츠 이벤트 등 다양한 영역 속에 지속가능성과 공정 등의 개념이 들어가면서 글로벌 공존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관광산업을 유흥이나 소일거리로 치부하는 인식이 크다. 아무리 국제회의를 해도 관광이 첨단의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민·관 어느 쪽도 마찬가지다. 지난 11∼13일 충남 부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 관광장관회의(T20)에서 관광이 세계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담보하는 대안임을 선언했을 뿐 국민들에게 다가온 메시지는 별로 없다.

여기에다 관광산업의 주무부처를 둘러싼 논란은 힘을 더욱 분산시키고 있다. 제프리 존스 전 주한미상공회의소 회장은 언론 기고를 통해 “관광을 변방에서 핵심산업으로 끌어올리려면 업무를 지식경제부로 이양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참 관광공사 사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다른 나라들은 경제부처 산하에 있어 산업적 대우를 받는데 한국은 문화체육관광부에 속해 있어 한가롭게 문화적, 정서적으로 다뤄진다”고 거들었다.

이런 논의야말로 한가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관광이 문화, 체육과 함께 묶여있다고 해서 종속적인 것이 아님은 주지의 사실이다. 외교통상이나 교육과학, 보건복지부와 마찬가지다. 업무적으로도 관광이 문화를 세일즈하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유리한 면이 많다. 교통부에 있을 때보다 문화부로 넘어 온 뒤 산업의 초석을 깔았다.

물론 발언의 진심은 관광진흥을 위한 정부의 관심과 민간의 노력을 촉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관광의 산업적 측면이 점점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필요할 경우 예산의 집중적인 투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답은 문화관광부를 경제부처로 만드는 데 있다. 그에 따른 조직과 예산이 수반돼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