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통선문 놓고 대운하 공방 재점화
입력 2010-10-22 18:27
‘대운하 사업 일환이다!’ ‘아니다!’
2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의 국토해양부 종합 국정감사에서는 4대강 사업의 타당성 등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이 잇따랐다. 특히 영산강 유역에 설치되는 ‘통선문(通船門)’의 성격을 두고 논란이 가중됐다. 통선문은 배가 다닐 수 있도록 방조제에 설치하는 문이다.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전남도의 요청에 따라 통선문 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심명필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이날 국감장에서 “지난 19일 전남도를 방문해 도지사와 지역주민들을 만났다”며 “그 자리에서 통선문 확대 요청을 들었고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영산강 하류 영산호와 영암호 하굿둑에는 폭 6.6m, 길이 30m 규모의 통선문이 설치돼 있다. 하지만 전남도는 통선문 폭이 좁아 초소형 선박이 지나가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40m 수준으로 통선문 폭을 넓혀 관광 및 레저 요트와 중형 선박들이 지나갈 수 있도록 요청했다.
야당 의원들은 이를 두고 “4대강 사업이 한반도 대운하 사업의 일환이라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며 “4대강 사업이 위장 대운하 사업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정진섭 의원은 “운하 사업을 하려면 최소한 6.1m 이상의 수심 확보와 갑문 설치, 하천 직선화가 필수적이지만 현재 4대강 사업 구역에서는 이 가운데 어느것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이제 소모적 논쟁을 중단하고 이 사업에 국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명필 본부장도 “전남도의 요청은 현재 6.6m인 통선문 폭을 지역 발전을 위해 관광·레저용 요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확장해 달라는 것”이라며 “운하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심 본부장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광주·전남 지역 일부 시민단체와 종교계에서는 그동안 은폐해온 정부의 운하 건설 계획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4대강 사업중단 광주전남공동행동 최지현 사무국장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가 추진키로 한 20∼30m 너비의 통선문은 5000t급 이상 대형 선박 왕래가 가능한 수준”이라며 “그동안 수질개선 사업으로 둔갑했던 대운하 사업의 실체가 만천하에 드러나는 신호탄”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26일 연대회의를 갖고 전남 무안 남악신도시 전남도청 앞 집회 등을 통해 통선문 건설 확대 저지에 나서기로 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