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환율 조정·IMF 지분 빅딜 방안 검토
입력 2010-10-21 18:30
G20 경주회의 뭘 논의하나
환율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경주 힐튼호텔에 모이는 각국 경제수장들이 묘안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G20 의장국인 우리나라는 향후 환율 문제를 국제통화기금(IMF) 지분(쿼터)과 주고받는 이른바 ‘빅딜’도 고민 중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1일 “환율 문제는 미국과 중국 등 국가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기 때문에 이번 회의의 공동성명서(코뮈니케)에 구체적 내용을 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현재 우리나라가 의장국으로서 여러 가지 중재안을 마련해 놓고 있는 상황이며 최선을 다해 갈등 수위를 낮춰 타협점을 찾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마지막 카드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IMF 5% 쿼터와 이사국 자리를 중국, 브라질 등 신흥국에 일부 양보하는 대신 신흥국은 선진국이 제기한 환율 문제를 긍정적으로 고려하게 하는 ‘빅딜’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관계자는 “서울 정상회의가 될지 그 이후가 될지는 모르지만 굵직한 이슈만 남았을 때 고려해 볼만 한 중재안”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경주 회의는 금융위기 이후 남유럽발 재정 충격에 따른 세계경제 현황에 대해 난상토론을 벌였던 지난 6월 부산 회의와는 상당히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미국이 중국의 위안화 절상 문제를 강하게 요구하는 등 선진국과 신흥국 간 환율전쟁을 방불케 하는 듯한 분위기가 연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회의 첫날인 22일엔 하루 종일 환율을 둘러싼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제1세션인 ‘세계 경제 동향 및 전망’에서 공식적으로 논쟁을 벌인 뒤 이어지는 만찬에서 양자 간 개별 조율에 들어간다.
이처럼 환율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사실상 경주 회의가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장관선의 사전합의를 이루는 자리여서 실질적인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 이해당사국들이 타협점을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달 9∼10일 열릴 G20 선언문 작성을 위한 재무차관 회의에서 막판 조율이 이뤄지거나 프랑스가 의장을 맡는 내년 G20 회의에 공식 의제가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