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창원시와 제9구단 창단 양해각서 체결

입력 2010-10-21 23:44

프로야구 제9구단 창단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천문학적인 액수가 드는 야구단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2의 넥센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KBO는 오는 26일 서울 도곡동 야구회관에서 경남 창원시와 제9구단 창단과 관련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유영구 KBO 총재와 박완수 창원시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창원시는 그동안 프로야구 구단 창단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왔다. 구단 운영에 연간 200억원 안팎이 드는 만큼 대기업 참여와 시민 주주, 지역기업 스폰서 모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원을 마련해 창단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KBO로서는 현재 8개 구단 체제의 프로리그를 오는 2013년부터 10개 구단 체제로 확대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제9구단, 제10구단 창단 기업을 찾아왔다.

하지만 제9구단은 마땅한 대기업을 찾지 못하고 시민 주주, 스폰서 모집 등으로 자금을 충당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럴 경우 자금난을 겪고 있는 넥센이 ‘선수팔기’로 생명을 연명하고 있는 것과 똑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이미 포털사이트 등에는 “KBO는 제9구단 창단보다 우선 넥센 사태나 정리해라”는 목소리가 높다. 또 KBO가 구단이 재정난에 시달릴 경우 이를 지원할 기금이 거의 없는 점도 문제다. 예산권도 모두 8개 구단에 넘어간 상태다. 2007년 당시 현대를 살리기 위해 130억원의 기금을 거의 탕진했기 때문이다. KBO는 광저우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대표 선수들 격려금도 겨우 8개 구단의 허락을 받고 집행했다.

부산·경남을 연고로 하고 있는 롯데의 반발도 나오고 있다. 롯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KBO와 창원시는 대기업 선정 등 구단 창단의 구체적인 토대를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양해각서 체결을 재고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모규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