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제 대응 필요한 중국 긴축정책
입력 2010-10-20 17:41
중국이 2년 10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했다. 1년 만기 예금금리를 현행 연 2.25%에서 2.50%로, 대출금리를 5.31%에서 5.56%로 올려 20일부터 적용한다는 것이다.
금리인상 배경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인플레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우세한 가운데 오는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위안화 절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대응책이라는 분석도 많다. 두 가지 효과를 모두 겨냥한 일석이조의 절묘한 포석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중국의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물론 경기 과열을 조절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보면 중장기적 측면에서는 차이나리스크가 완화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다만 이로 인한 내수 위축이 세계 경제의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구조가 지나치게 수출 중심인데다, 중국이 전체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임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금리인상 폭이 크지 않은데다 이번 조치가 위안화 가치를 올릴 경우 전반적인 구매력이 커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중국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는 등 긴축기조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외신들은 중국이 성장위주에서 벗어나 속도조절을 꾀하고 있으며 이번 금리인상도 이와 관련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국은 집값이 지난 9월 기준으로 전년대비 9.1%나 상승했고 소비자물가도 지난 8월 기준 전년대비 3.5% 올라 2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현재 9%대인 경제성장률을 7%대로 낮추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와 기업은 여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국에 치우친 수출선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자산버블을 해소하는 것이 중국 정부의 강력한 의지인 만큼 그에 따른 영향도 눈여겨봐야 한다. 중국은 지금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