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제정책 변화 영향은?… 환율 타협 가능성… 원화 ‘절상압력’ 거셀 듯
입력 2010-10-19 21:41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뒤이을 차기 지도체제가 윤곽을 드러내면서 중국의 경제정책도 전환기를 맞았다. 차기 지도자 자리를 굳힌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의 스타일 자체가 변화보다는 안정을 중시해 ‘수출과 성장’ 대신 ‘내수와 분배’에 초점을 맞춘 경제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위안화의 점진적 절상 가능성도 커진 셈이어서 우리 경제의 외풍(外風)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안순권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19일 “내수 확대란 정책 목표 자체가 위안화 절상을 의미해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와 환율 문제 등으로 불거진 국가 간 갈등을 완화시킬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도 “이러한 정책 변화는 위안화 절상을 어느 정도 용인하겠다는 것”이라며 “원화 절상 압력도 커진 셈이어서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지금껏 중국을 우회수출기지로 활용했던 우리나라의 전략도 다시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포스트 후진타오 체제에서 중국의 경제정책이 급격한 변화를 맞을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중국이 말하는 ‘분배’가 내부적 요소에 의한 변화만을 의미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지만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은 “후진타오 8년 동안에도 균형, 분배란 말은 계속 나왔지만 변한 건 별로 없다”며 “중국은 환율을 가지고 내수와 수출을 조정하는 게 아니라 저임금과 세금 문제 등 내부적 요인을 개선하면서 소득을 올리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이 향후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성장동력에 대대적 투자를 단행할 것을 고려한 틈새시장 창출 전략도 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 팀장은 “중국은 21세기형 산업구조에 맞으면서 균형성장도 도모할 수 있는 친환경에너지, 대체에너지 등 신산업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관련업계들은 중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유지하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짜야 할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안 연구위원은 “중국 내 후계구도 확정으로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으로서의 우리나라 중재 역할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졌다”며 “중국이 내수부양을 약속하고 위안화 절상을 하겠다고 타협안을 내놓으면 미국도 강경안을 거둬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