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탐방객 느는데… 대피소 태부족

입력 2010-10-18 18:08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탐방객이 급증했지만 대피소와 구조용 헬기 등의 편의시설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샛길 통행 등 자연훼손과 산불을 낼 가능성이 있는 행동 등 불법·무질서 행위가 탐방객 증가 속도보다 빠르게 늘고 있다.

한나라당 신영수 의원이 18일 열린 국립공원관리공단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06년 2103만명이던 탐방객이 2009년에는 3551만명으로 69% 증가했다. 그러나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운영 중인 대피소는 19곳으로 입장료 폐지 이후 늘지 않았다. 공단이 직영하는 대피소 12곳 가운데 9곳은 인터넷 예약제로, 나머지는 선착순으로 운영하고 있다.

신 의원은 “대피소가 부족하다 보니 예약을 하지 못한 채 부상하거나 탈진한 탐방객은 문전박대를 받는다”면서 “대피소의 주요기능 첫 번째는 탐방객의 안전관리 및 조난자 구조라고 명시돼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찬열 의원도 “전국 20개 국립공원에 헬기는 달랑 한 대밖에 없다”며 “인명구조, 산불진화, 고지대 화물운송, 불법행위의 단속을 위해 공단은 조속히 헬기를 추가로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은 자연 훼손을 비롯한 불법·무질서 행위가 탐방객 증가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르게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단에 따르면 입장료 폐지 직후인 2007년 한 해 동안 탐방객 수는 3066만명으로 전년 대비 45.8% 증가한 반면 자연훼손, 행락질서 위반 등 불법·무질서 행위 단속 건수는 7264건으로 전년의 3439건에 비해 89.9% 늘어났다.

특히 샛길 통행 등 자연훼손 관련 단속건수는 2007년 1035건으로 전년의 584건에 비해 129.5%나 급증했다. 자연훼손행위에는 도·남벌, 식물채취, 동물포획, 무속행위, 자연휴식년제 및 비지정 탐방로 출입, 계곡 내 목욕·세탁행위 등이 포함된다.

한편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이명박 정부 들어 산불감시를 하는 화재감시인이 급감해 2008년 80명이던 화재감시인은 지난달 현재 5명에 불과하다”면서 “산불발생은 2008년 1곳, 0.08㏊에 불과하던 것이 2009년 총 7건, 56.92㏊로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