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연내 개헌특위 구성해야”…다시 불붙은 논란

입력 2010-10-17 21:51


개헌 논란의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1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자청해 “개헌은 18대 국회의 임무”라며 “국회 내에 개헌특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청와대 등 여권 핵심부에서 개헌 논의에 회의적인 전망을 내놨던 것과는 사뭇 다른 뉘앙스다.

김 원내대표는 “올해 안에 특위 구성을 해야만 개헌 가능성이 있다”고 시한을 못 박았다. 그는 “연말까지 특위 구성이 안 된다면 개헌 논의를 포기해야 한다”고 했다.

당내 입장 정리를 위해 의원총회를 열겠다는 얘기도 했다. 하든, 안 하든 결론을 내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안상수 대표는 “대야(對野) 조율, 국민 동의도 필요하고 당내 의견도 종합해야 하는 만큼 물밑으로 대화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친박계와의 조율도 필요하니 분위기와 여건이 성숙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얘기다.

김 원내대표는 “개헌은 국회에서 하는 것”이라며 논의의 중심이 국회임을 강조했다. 그는 “2007년 4월 당시 6개 정당 원내대표들이 ‘개헌 문제를 18대 국회 초반에 처리한다’고 합의했다”며 “이 합의를 기초로 여야 의원 186명이 참여해 창립한 미래한국헌법연구회가 중심이 돼 개헌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나 권력자가 언급하고 추진하면 될 일도 안 된다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개헌과 관련해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언질도 받은 바 없다”는 얘기도 했다. 정치적인 의도나 계산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다.

하지만 김 원내대표의 발언을 전해들은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깜짝 놀랐다”고 반응했다. 박 원내대표는 “여권에서 내부 논의를 거쳐 개헌 논의를 진전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게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의 발언이 조율을 거쳐 나온 것으로 해석하고 있는 셈이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먼저 (개헌) 얘기를 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여권의 개헌 논의 방향조차 정해지지 않은 만큼 민주당이 섣불리 끼어들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는 논의 자체에 대해선 긍정적인 뜻을 내비쳤다. 박 원내대표는 “여권에서 구체적인 안을 내면 민주당 내에도 찬반론자가 있기 때문에 입장을 정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 원내대표의 바람대로 진행된다면 11월 말이나 12월 초쯤에는 국회에서 개헌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정략적인 의도를 의심하는 눈초리가 여전하고, 정파와 차기 주자마다 선호하는 권력구조가 달라 의견 조율이 쉽지 않다. 개헌 논의가 본격화되는 순간 정치권에 한바탕 회오리가 몰아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