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美 “위안화 절상 일부 진전”

입력 2010-10-17 18:35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이 15일(현지시간) 중국의 위안화 환율 절상 노력을 일정 부분 평가했다. 미 재무부는 또 이날까지 예정됐던 환율정책보고서의 의회 제출을 다시 연기했다.

환율보고서 내용에 포함될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는 양국간 환율 갈등을 결정적으로 확산시킬 최대 변수였다. 이에 따라 환율 전쟁을 막기 위해 양국이 절충점을 찾아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가이트너 장관은 성명을 통해 “지난 9월 이후 위안화 절상에 속도를 낸 중국의 조치를 인정한다. 이 같은 과정을 지속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달 2일 이후 위안화 절상 폭이 월 1%를 넘어섰다”면서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국제통화기금(IMF)이 상당 수준 평가절하된 것으로 지적한 위안화 문제를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세계 경제가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모든 주요 선진국들이 협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가이트너 장관의 발언은 주요국들 간 환율 전쟁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 그 핵심인 위안화 절상 문제가 어느 정도 진전되고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 같은 추세가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 중국 정부의 더 많은 위안화 절상 노력을 촉구했다.

가이트너 장관은 또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가 관심이었던 환율 보고서 발표를 연기함으로써 중국에 ‘성의’를 표시했다. 그는 환율 보고서 의회 제출 시점이 다음달 서울 G20 정상회의 이후로 미뤄졌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 정상회의는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한 중대 도전에서 추가 진전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20 정상회담과 직전에 열릴 경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담에서 위안환 절상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주문한 것이다.

환율 보고서는 1년에 두 차례(4월, 10월) 발표된다. 역시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가 최대 관심사였던 지난 4월의 보고서도 7월로 연기돼 발표됐었고, 중국을 환율조작국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미 하원은 중간선거를 앞두고 중국을 겨냥한 환율제재법안을 지난달 30일 통과시켰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