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7만개 창출… 2011년에만 공공부문 6300명 증원

입력 2010-10-14 21:49


정부가 2012년까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7만개 이상을 창출키로 하고 내년에 신규 채용만 6300명을 늘리기로 했다. 공공부문에서 민간부문으로 일자리 창출이 확산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1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제10차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 내일 만들기 제1차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지방에 있는 원자력발전소처럼 그 지역에 있는 기관의 경우 지방대 출신을 우선적으로 배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근무시간이 길다는 것을 자랑할 때가 아니다”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것과 함께 근무시간을 조정해 기존 업체에서 더 많은 사람이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에너지·자원 분야처럼 신기술을 개발하거나 신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유망 분야에서 공공기관의 청년취업자를 6300명 늘린다. 민간파급 효과를 감안하면 2012년까지 취업자는 7200여명 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늘어나는 정원은 반드시 신규 채용으로 충당토록 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에도 실적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는 원자력 등 에너지 분야 1700명, 출연연구기관 연구인력 1200명, 국립대병원 의료인력 1200명을 증원한다.

수요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화재·자연재해 관리, 재난구조·구급 활동, 치안 등 안전 분야와 특허·상표출원 심사, 생활 밀착형 공공서비스 분야에서도 공무원 1350명을 포함해 모두 7150명을 신규 채용한다. 특정 중소업체에 일정 기간 근무하면 병역을 면제해주는 산업기능요원 제도는 당초 2012년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2016년까지 연장된다.

내년부터 실효성이 낮은 행정인턴은 폐지된다. 대신 취업연계 성과가 높은 중소기업 청년취업 인턴제를 1000명 미만 중견 기업으로 확대한다. 올해 500명이던 창업·창직 인턴도 내년에는 3000명으로 확대된다. 또 인턴 수료자의 사회적 기업 전환을 도움으로써 2012년까지 사회적 기업가 4000명을 육성키로 했다. 고용부는 중소·중견기업 인턴과 창업·창직 인턴을 포함해 모두 3만7100개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세대 간 일자리 나누기를 위한 실근로시간 단축, 근로시간 단축형 고령자 임금피크제 도입, 유연근로 확대 등을 통해 채용여력 확대와 청년 고용을 유도키로 하고 구체적인 재원확보 방안도 마련했다.

임항 남도영 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