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사망·김정은 세습… 여권 내 대권주자들도 대북·안보관 정립 고민
입력 2010-10-13 21:50
북한의 3대 세습과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의 사망 등 일련의 사태는 여권 대권주자들에게도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한반도 평화 관리 문제가 2012년 대선의 쟁점이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 측근은 13일 “국방·안보 자문그룹과 만나 의견을 들으며 한반도 안보 구상을 가다듬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2007년 경선 이후 남북관계에 공식적인 언급을 자제해 왔다. 지난해 5월 미국 스탠퍼드대 초청 강연에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상설적 동북아 평화협력체가 필요하다”는 구상을 밝힌 정도다. 그동안 박 전 대표는 ‘북핵은 없어져야 한다’는 강한 원칙을 고수해 왔고, 이 때문에 지난 경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비교했을 때 더 오른쪽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박 전 대표 측 한 인사는 “이 문제는 박 전 대표에겐 일종의 딜레마와 같다”고 말했다. 실제 내용보다 훨씬 보수적이란 딱지가 붙어있다 보니 기존의 보수 지지층과 중도층을 동시에 만족시킬 만한 ‘입장’을 내놓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김문수 경기지사의 속내는 이와 다른 모습이다. 김 지사는 연일 각종 강연과 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북한 3대 세습을 반대하는 등 강경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미국 워싱턴 방문 이후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의견을 교류하는 등 관심이 더욱 커졌다는 후문이다. 김 지사는 12일 황씨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황 선생님은 가셨지만 북한 민주화운동의 고귀한 정신은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김 지사의 행보는 보수 주류의 마음을 얻기 위한 ‘우향우 행보’와 맥이 닿아있다는 분석이다. 노동운동과 민중당 출신이라는 경력 때문에 그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는 보수세력을 향한 메시지라는 것이다. 한 측근은 “평소 소신과 철학일 뿐 정치공학적으로 접근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