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환율 2011년 1050원까지 떨어질 것”

입력 2010-10-08 18:16

원·달러 환율이 내년 상반기 달러당 1100원, 1년 뒤엔 1050원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7일(현지시간) 전망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마크 탠 외환담당 부사장은 미 한국상공회의소가 뉴욕에서 주최한 환율 전망 세미나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경기회복을 위해 달러화를 시중에 대량 공급할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탠 부사장은 “미국 경제의 회복세는 미약한 반면 일부 국가들은 지금도 높은 성장세를 구가하는 등 국가별로 성장속도가 많이 차이 나고 있다”면서 “미국 통화당국이 달러 약세 정책을 펴도록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Fed는 경기가 안 좋으면 돈을 무한정 풀겠다는 신호를 계속 보내왔다”며 “요즘 미국 경제에는 나쁜 뉴스가 계속 나오고 있지만 이게 오히려 Fed를 자극해 경기를 살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고 말했다.

탠 부사장은 최근 미국 경기가 그다지 좋지 않은 데도 뉴욕 증시의 주가가 오름세인 것을 그 예로 들면서 “Fed는 이미 공언했다시피 다음 달 열리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유동성(달러화)을 많이 푸는 정책을 결정해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노무라연구소 한상훈 부사장도 세미나에서 “Fed은 한도 없이 돈을 풀겠다는 의지가 강하다”며 “디플레 가능성을 없애고 인플레를 유발해 미국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를 치유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Fed의 추가 공급 규모가 6조∼7조 달러에 이를 거라는 전망도 나왔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경제고문이자 경제자문기구 린지그룹의 공동 설립자인 마크 서멀린은 이날 CNBC방송에 출연해 “경제성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려면 Fed가 적어도 6조∼7조 달러를 추가로 풀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올 들어 Fed가 공급한 1조 달러보다 훨씬 많은 규모다.

탠 부사장은 그러나 “미국 경제 자체로만 보면 그리 좋은 상황은 아니다”면서 “요즘처럼 대다수 선진국들이 너도나도 통화 공급을 늘리면 세계적으로 자산가격이 앙등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