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K-NCCJ 도시농촌선교협의회 개최 “日 과거사 사죄 촉구-도·농간 신앙 연대 협력”
입력 2010-10-07 17:59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정의와평화위원회와 일본그리스도교협의회(NCCJ) 도시농어촌선교위원회가 4∼7일 제주도에서 9회 도시농촌선교(URM)협의회를 개최하고 동아시아 평화와 양국 도시·농촌 교회 상호 교류에 함께 노력하자는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생-한국 강제병합 100년에 있어서’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권오성 NCCK 총무, 김정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장, 박승규 한국기독교장로회 전국농민선교목회자연합회 총무 등 한국 측 30여명과 코시이시 이사무 NCCJ 의장을 비롯한 일본 측 대표 20여명이 참석했다.
양측이 채택한 성명은 한일 강제병합 100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내용과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아래서 소외되는 이들을 위해 양국 교회가 협력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성명은 한국 강제병합에 대해 일본 정부는 어떠한 구실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간토대지진 시 조선인학살, 강제징병 및 노역, 일본군위안부, 야스쿠니합사, 사할린 잔류 조선인 피해 문제 등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사죄와 배상, 재일한국·조선인 인권 보장 등을 일본 정부에 요구했다. 특히 양국 교회는 미래 세대에 대한 올바른 근현대사 교육을 적극 실시하고 9월 첫째 주일을 ‘재일한국·조선인 인권 주일’로 선포하고 지켜갈 것을 약속했다.
이어 양측은 무너져 가는 농업 기반을 지키기 위해서는 도시·농촌 교회의 신앙적 연대 운동이 필요하다며 양국 교회가 상호 교류로 지속해 나가자고 했다. 아울러 외국인 노동자를 경제의 소모품으로 이용하는 법과 제도를 반대하며, 자유와 평등의 관점에서 모든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과 생활을 지켜내자고 약속했다.
일행은 제주 4·3항쟁 유적지와 현재 해군기지 건설 문제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강정마을 등을 방문하기도 했다. 조성윤(제주대) 교수는 “제주도에는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군이 만든 군사시설과 지하 갱도가 셀 수 없이 남아 있다”면서 “제주도민들은 강제 노역과 공출에 시달렸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일행은 “동서 냉전구도가 가장 치열하게 드러난 곳이 한반도”라며 특히 제주도에서 가장 비참한 형태로 드러났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황세원 기자 hws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