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민주당은 ‘감세’ 공화당은 ‘티파티’ 발목
입력 2010-10-05 18:17
오바마 감세정책 민주당내서도 반대 분위기
공화, 극보수 티파티 후보들에 유권자 외면
감세와 티파티 후보 문제가 민주당과 공화당을 괴롭히고 있다. 선거를 한 달 정도 앞둔 양당은 각각 이 문제로 적전(敵前) 분열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예기치 못했던 ‘감세 논쟁’을 벌어야만 했다. 그것도 가장 중요한 경기회복을 위한 정책을 점검하는 백악관 경제회복자문위원회 회의에서였다.
자문위원인 마틴 펠트스타인 하버드대 교수는 연말로 만료되는 감세 혜택의 2년 연장을 전 소득계층에 적용하도록 하는 게 경제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윌리엄 도널슨 전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도 “불확실성이 총수요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세금인상 불가를 외치는 두 사람의 주장은 ‘부부합산 가구소득 연 25만 달러 이하의 중간계층에만 세금감면 혜택 연장, 그 이상 부유층은 감세 혜택 종료’라는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이다.
오바마 정부의 이 정책에 대해 민주당 내에서도 반대하는 분위기가 있다. 이미 민주당 의원 31명은 모든 계층에 감세조치 연장을 촉구하는 서한에 서명했다. 공화당은 전체적으로 이 방안을 거부하고 있어 세금 문제는 가장 큰 선거 이슈가 된 상태다.
공화당은 티파티 후보 문제로 이미 경선 때부터 내분 양상이다. 이미 언론에서 ‘반란군’ ‘내분’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정도로 공화당 내 대립은 치열하다. 골수보수 유권자층이 강력히 지지하는 티파티 후보들의 반(反)기득권 주장 범위엔 사실상 공화당 지도부도 포함돼 있다.
문제는 티파티 후보들의 당선 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데 있다. 선거 전략가들은 일부 티파티 후보 선거구에서 중도 성향이지만 친공화 성향 유권자들이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티파티 후보들의 조세감면과 경기부양책 반대 주장은 미 재계로 하여금 전폭적인 지지를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게다가 차기 공화당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존 순 상원의원은 2012년 티파티가 떨어져 나가 제3의 당을 만들 가능성까지 거론한다.
이 같은 적전 분열로 10% 이상 벌어졌던 양당 지지도가 최근 폭스뉴스 여론조사에서 6%까지 좁혀졌다. 뉴욕타임스(NYT)는 공화당이 하원 다수당이 되기 위해 추가 확보해야 하는 39석 중 안정권으로 분류되는 지역이 절반 정도로 줄었다고 자체 분석했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