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들 “간접지원 전환 현실 외면한 처사”
입력 2010-10-05 17:36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지난달 1일과 14일 영화인들을 불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대토론회’를 열었다. 한국 영화의 현재를 살펴보고 다양성과 공공성을 증진키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는 게 당초 취지였으나 이 자리는 영진위와 영진위원장에 대한 ‘성토의 장’이 됐다.
1차 토론은 통계만 가득했던 탁상토론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나마 영화산업 총매출액 추이가 2004년 1조5000억원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다거나 2005년 평균 7.9%였던 투자 수익률이 2008년에 마이너스 43.5%를 기록했다는 등의 우울한 이야기뿐이었다.
2차 토론에서는 독립영화 간접지원 전환 등의 정부 정책을 둘러싸고 비판이 쏟아졌다. “한국 다양성 영화는 선순환 구조가 아니다”(여한구 한국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현장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조영각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 “정책 방향이 거꾸로 가고 있다”(임창재 독립영화협회 이사장) 등의 쓴소리가 줄을 이었다. 지난 5월 독립영화 제작지원 심사 과정에서 심사위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특정 영화를 선정하도록 지시했다는 ‘전화 압력’ 파문 이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조희문 영진위원장도 비난의 목소리를 피해가지 못했다. 조 위원장의 면전에 대고 “왜 물러나지 않느냐”는 성토가 이곳저곳에서 강하게 쏟아졌다. 지난달 27일에는 8명의 영진위원들이 문화부에 ‘조희문 위원장이 공직자 윤리강령을 위반했다’며 사실상의 해임 건의안을 올렸다.
지난 1일 서울 청량리동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만난 조 위원장은 이런 흐름에 에둘러 불만을 토로했다. 조 위원장은 “말이 말을 낳기 때문에 지금 (왈가왈부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조만간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언론이 한쪽 방향으로만 쓰는 것 같다. 법원에서 영진위의 영상미디어센터 선정이 적법했다고 판결한 것은 다룬 곳이 없다”고도 했다. 여론이 일방적으로 흐르고 있는 데 대한 섭섭함이 묻어나는 말이었다.
양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