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가 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입력 2010-10-03 18:58

9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6%나 올라 1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달 대비 상승률은 1.1%로 9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심히 걱정스러운 수준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 같은 물가상승률은 배추와 상추 등 채소값 급등으로 신선식품 물가가 45.5%나 폭등한데 따른 것이다. 그리고 채소값 폭등에는 이상기온과 태풍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신선식품 상승률이 지난달에만 높았던 것이 아니다. 5월 9.9%, 6월 13.5%, 7월 16.1%, 8월 20.0% 등 이미 고공행진을 지속해 왔다. 이쯤 되면 날씨 탓만 할 게 아니라 일각에서 주장하는 대로 4대강 사업과 보금자리주택 건설 등으로 채소류 재배량이 줄었는지를 비롯해 수요와 공급을 총체적으로 점검해봐야 한다.

농산물 가격 상승은 인플레 심리에 매우 민감하게 작용한다. 당장 음식점들이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크고 이는 전반적인 서비스산업의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여기에다 국제 원자재 가격도 꾸준히 오름세를 타고 있다. 지난 8월의 경우 원자재 수입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14.0%나 상승했다. 소비자물가가 앞으로 더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물가 불안을 조기에 차단키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직 경기 전망이 불확실하고 환율이 하락 추세를 보이는 게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미 시장에는 돈이 너무 많이 풀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3%대로 내려앉았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라는 뜻이다. 환율 하락이 걱정스럽지만 무역수지 흑자 규모를 감안할 때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니다. 원화가치 상승은 오히려 긍정적 측면도 적지 않다.

이에 반해 물가 상승은 백해무익이다. 국민의 실질소득을 감소시키고, 체감경기를 악화시켜 가뜩이나 부진한 소비를 더 얼어붙게 할 수 있다. 지금 우리 경제에 필요한 것은 수출보다는 내수 확대다. 서민을 위하려면 물가부터 안정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