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유통구조 문제점… 70%가 밭떼기 거래, 수급 불균형 초래
입력 2010-10-01 21:56
배추값이 치솟으면서 농산물 유통 구조의 뿌리 깊은 문제점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농산물 유통 방식의 70%를 차지하는 ‘밭떼기’ 거래가 배추 수급 불균형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추 대란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농산물 유통 구조 선진화와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유통은 ‘농민→산지 도매상→도매시장 경매→중간도매상→소매상→소비자’의 경로를 따라 이뤄진다. 출하되는 배추의 70%가 이 같은 방식을 따른다. 이때 산지 도매상은 대부분 밭 3.3㎡당 가격을 매기는 ‘밭떼기’ 거래 계약을 농민들과 맺는다. 보통 모종을 심고 싹이 나올 때쯤 거래되기 때문에 농민 입장에서는 생산량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산지 배추 가격이 정해지는 셈이다.
밭떼기의 문제점은 산지 도매상의 구미에 맞게 생산량이 조절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밭떼기 계약을 맺으면 사실상 산지 도매상이 밭을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금처럼 가격이 급등하면 산지 도매상의 매점매석도 가능하다. 공급이 달릴 때는 산지 도매상이 유통 과정에서 높은 가격을 불러도 어찌 할 방도가 없다. 이들은 배추값이 폭락했을 때 손해를 생각해 가격이 급등했을 때 이익을 챙기게 되는 것이다.
생산량과 무관하게 계약이 이뤄지다 보니 농민들이 출하 시 결정되는 가격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점도 문제다. 애초에 유통 정보가 부족한 농민들은 적정한 가격에 계약하지 못하고 배추 가격이 오르더라도 추가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다.
이 같은 유통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기후 변화에 따라 급변하는 가격을 제대로 통제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농민들의 조직화를 제안하고 있다. 고령의 농민들이 유통 정보에 밝은 산지 도매상을 상대로 협상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농협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한 조직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직거래도 하나의 대안이 되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들은 이미 산지 영농조합이나 시군유통회사를 통해 몇십만 포기씩 물량을 정해 계약하는 사실상 직거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배추 대란을 겪으면서 충북 괴산군의 절임배추생산자협의회처럼 산지 농민이 소비자와 직거래하는 경우도 각광받고 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