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합동 총회] '제비뽑기' 10년만에 폐지하긴 했지만...
입력 2010-09-30 17:21
[미션라이프]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총회의 선거제도가 ‘제비뽑기+직선 투표’가 혼용된 선거인단 제도로 변경됐다. 이로서 2001년부터 시작된 제비뽑기 제도는 10년간의 시행착오를 남긴 채 막을 내렸다. 그러나 선거인단 제도 역시 직선제로 가기 위한 어정쩡한 ‘중간 과정’에 불과해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예장 합동은 30일 오전 강원도 홍천 대명비발디파크에서 열린 제95회 총회에서 선거인단 제도를 통한 부총회장 선출방법으로 선거제도를 변경했다. 총대들은 29일까지 제비뽑기 옹호파와 직선제 변경파, 제비뽑기+직선투표 혼용파로 갈라져 합의점을 찾지 못하다가 선거인단 제도 찬반 거수투표에 들어가 찬성 517명, 반대 288명으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총회현장에서 3개 지역별(서울·서북, 호남·중부, 영남) 총대 중 30%의 선거인단을 제비뽑아 추출하고 이들이 직접 선거에 나섬으로 부총회장을 선출한다. 서기나 회계 등 기타 임원은 ‘러닝메이트’ 방식으로 부총회장이 3개 지역을 안배해 지명하게 된다. 따라서 2011년 선출되는 부총회장부터는 자신의 리더십에 동의하는 인사를 선발할 수 있게 돼 막강한 권한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총회는 또 직선제가 일부 도입됨에 따라 금권선거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금권선거를 자행한 총대에 대해선 당회장권을 제외한 노회와 총회의 모든 공직을 영구 박탈하기로 했으며, 금품수수에 대해선 50배 배상키로 했다. 또 부정선거를 신고하는 자에 대해서도 신고금액의 50배를 지급하기로 했다. 자세한 시행세칙은 9인 위원을 선정해 만든다.
한편 총신대에 지원하기로 했던 1억 2000만원의 장학기금이 소송비용으로 전용된 사건에 대해선 최병남 전 총회장이 사과함으로 종결됐다. 최 전 총회장은 “일을 하다가 실수가 있었다. 양해해 달라”고 사과했다. 이에 따라 ‘총회 예비비로 총신대에 우선 장학금을 지원하고 불법 지출한 금액에 대해선 93회 총회장이 총회 파회 60일 이내에 환원하라’는 지난 28일 결의는 취소됐다. 그러나 총회의 예산확보는 미지수다.
헌의된 안건 이외에 30명의 총대가 동의해 총회 장소에서 긴급하게 제안하는 ‘긴급동의안’을 통해 27건이 상정됐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후보추천과 구 개혁측 학적 처리, 한국찬송가공회 처리 문제 등이 제기됐으며, 지난해에 이어 CTS방송 사장문제 특별위원회 구성 안이 나왔다.
홍천=글·사진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