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3代세습 선언 이후] “北, 후계 공고화 위해 南에 유화국면 조성 나설듯”

입력 2010-09-29 21:31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 후계구도가 공식화되더라도 북한의 대외관계 및 남북관계에 당장 큰 변화는 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김정은의 후계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해 유화국면을 조성해 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대중 관계 강화, 점진적인 6자회담 분위기 조성할 듯=허남성 전 국방대학교 교수는 북한과 중국의 관계가 더 긴밀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허 교수는 “중국은 북한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중국은 김정은 후계체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 대가로 북한은 중국이 원하는 텅스텐 우라늄 등 천연자원과 어업자원을 제공하면서 양국의 경제적 유대도 공고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허 박사는 그러나 북한이 후계체제 안정을 위해 당분간은 대외정책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도 북·중 관계가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북한과 중국은 동북3성 개발 등 서로 이익을 나눌 수 있는 분야뿐만 아니라 6자회담을 비롯한 대외 문제에서도 적극적인 협력관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북·미관계 개선과 6자회담 재개는 당장 이뤄지기 힘들지만 북한이 점진적으로 적극성을 띤 행보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중국을 통해 자신들이 6자회담 복귀 조건으로 내세운 ‘미국의 금융제재 해제’와 ‘평화협정체제 논의’ 수위를 일부 조정하겠다는 의사를 미국 측에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반면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김진무 북한연구실장은 “조만간 중국에서 우다웨이 한반도 특별대표나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 같은 고위 인물이 북한을 방문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작업이 재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이 핵 협상과 대미 외교를 담당해 온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을 부총리에 임명하고 정치국 위원으로 승진시킨 것도 대외관계 개선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했다.

◇남북관계, 당분간 유화국면 지속할 가능성=전문가들은 북한이 당분간 남북관계에서 상당히 유연하게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화폐개혁 실패에 따른 경제난과 최근 발생한 홍수로 인한 대규모 수해, 후계자 김정은의 치적용으로 필요한 경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창구이기 때문이다.

김진무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군사회담까지 제의하고 나선 것을 보면 남한으로부터 지원을 받아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당국자 회담을 제의하는 등 더 적극적으로 나올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책연구소 선임연구원도 “어려운 북한 사정에 숨통을 틔울 수 있는 곳은 남한뿐”이라며 “당분간 남북관계는 유화국면을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오는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반도 긴장지수를 낮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고려대 북한학과 유호열 교수는 “미국도 남북관계와 북·미관계 개선은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대미 관계 개선을 위해서라도 북한은 남한과의 대화국면을 지속해가려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