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을 위한 기업들의 선택은 강제 혹은 시간주기
입력 2010-09-28 18:23
‘단번에 끊게 할까, 시간을 줄까?’
기업에서 직원들의 흡연은 건강을 해치는 데다 근무 중 수시로 자리를 비우는 시간으로 인한 손실도 엄청나다. 때문에 많은 기업이 직원들의 금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직원들에게 흡연을 하다 적발되면 강력한 인사 처벌을 감수한다는 서약서를 받은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승진 대상 등에서 배제한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모든 사업장의 흡연공간을 폐쇄, 완전 금연사업장을 만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출근길에 아예 담배, 라이터를 소지할 수 없고 회사 방문객마저도 삼성전자에 발을 들여놓는 순간부터 금연 적용을 받게 된다.
가장 강력한 금연정책을 펼치는 곳은 포스코다. 정준양 회장은 취임 직후 금연캠페인을 전개한 끝에 전 직원이 금연에 성공한 것으로 유명하다. 물론 퇴근하면 밖에서 몰래 피우는 사람도 있겠지만 담배 피우는 사실이 적발되면 손가락질을 받는 분위기다. 웅진그룹도 지난해 전사적 금연을 시작한 데 이어 올해부터는 금연서약에 동참한 임직원을 대상으로 소변검사까지 하며 흡연여부를 검사하고 있다.
반면 일부 업체들은 강제로 금연을 실시하는 데 따른 반발이나 부작용을 우려한 듯 속도조절을 하고 있다. NHN은 신사옥 4층과 옥상에 별도의 흡연실을 마련했다. 금연을 강제하진 않되 흡연 공간을 줄여 불편함을 느끼도록 한 것. SK에너지도 울산공장을 금연지역으로 선포하려다 직원들의 반발에 부닥치자 흡연실은 유지하되 금연캠페인은 지속적으로 벌이는 선에서 타협했다.
업종과 근무 성격에 따라 금연 방식도 다르다. 유통업 등 고객들과 얼굴을 맞대는 업무가 많은 곳에선 강제적으로 금연을 실시하는 게 낫다고 한다. IT 업종 등 정밀한 작업을 요하는 공장이라면 강제 금연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반면, 같은 IT 업종이라 하더라도 자유로운 창의력을 발휘해야 하는 분야라면 금연 스트레스를 덜 주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분석이다.
김도훈 기자 kinch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