댜오위다오 근해서 중·일, 또 충돌 우려
입력 2010-09-27 22:02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근해에서 나포된 중국인 선장 석방 이후에도 중·일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이 계속 압박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도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댜오위다오 부근 해역에 어업지도선을 상시 배치, 자국 어선의 어로 작업 보호를 위한 순찰 활동을 벌일 것이라고 중국어업보가 27일 보도했다. 중국 농업부 동해구 어정국(漁政局) 소속 어업지도선 ‘어정 201호’와 ‘어정 204호’는 지난 7일 중국 어선이 나포된 이후 댜오위다오 부근 해역에 출동해 순찰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댜오위다오는 현재 일본이 실효지배 중이고, 일본 해상순시선이 수시로 출동하기 때문에 자칫 정면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중국 순시선을 즉각 철수하라고 촉구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센고쿠 장관은 “2척의 중국 순시선이 일본 해역에 들어오지는 않았지만 부근을 맴돌고 있다”며 “중국측에 네 차례 철수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댜오위다오 부근 해역에서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피해에 대해 중국에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아울러 최근 중국 허베이(河北)성에서 군 시설을 불법 촬영한 혐의로 붙잡힌 일본인 4명의 안전 보장과 신속한 사건 처리를 중국 당국에 촉구했다.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 외무상은 이날 청융화(程永華) 주일 중국 대사를 불러 이들 일본인 4명에 대한 정기적 접촉 보장을 요구했다.
이번에 중국 당국에 붙잡힌 사사키 요시로 등 4명은 모두 일본 건설업체 후지타건설 직원으로,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이 중국에 버린 화학무기 회수사업 수주 준비차 현지를 답사하다가 연행됐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24∼2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세계여행박람회에 당초 참가하려던 계획을 취소했다. 또 중국에서의 일본 상품 수출입 통관을 엄격하게 하는 방식으로 일본 기업에 타격을 가하는 등 전방위적인 대일 압박을 계속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장지영 기자 js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