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분석] 성범죄자 ‘거주 벨트’ 따로 있다

입력 2010-09-27 18:24


시화·반월공단 주변 10개동 52명으로 최다

시화·반월공단이 있는 경기도 시흥·안산시 10개 동(洞)이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들의 전국 최대 ‘거주벨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에서는 구로·금천·영등포구 6개 동과 동대문·중랑구 9개 동 등에 성범죄자 거주벨트가 형성돼 있다.

아동·청소년을 성폭행하거나 성추행해 유죄 확정 판결을 받은 자들이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범죄자 거주벨트는 집값 등 거주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면서 지하철 등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주로 발견됐다.

경찰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최규식 민주당 의원에게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신상정보 등록대상 성범죄자 현황’을 국민일보가 27일 분석한 결과다. 이 자료는 2006년 6월 30일 이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로 판결이 확정된 1809명의 주민등록상 주소와 실거주지, 범죄발생 장소와 시간 등이 기록돼 있다. 이들 성범죄자의 전체 실거주지 현황이 읍면동 단위까지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국민일보는 성범죄자의 실거주지를 지도에 대입해 거주벨트를 찾아냈다. 1809명 가운데 일부는 형기를 마치고 출소해 거주지에 살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분석 결과 시화공단과 반월공단 인근 서로 맞닿은 10개 동에 성범죄자 52명이 거주했다. 시흥시 정왕동에 18명이 살고 있었고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7명, 상록구 본오동과 사동 각 6명, 단원구 선부동 5명 등이다. 2008년 12월 교회 화장실에서 초등학생을 무참히 성폭행한 조두순도 이곳 벨트에 포함된 단원구 초지동이 거주지였다. 서울에서는 구로·금천·영등포구 일대가 가장 큰 성범죄자 거주벨트였다. 구로구 구로동과 금천구 독산동에 성범죄자 각 7명이 거주했고, 영등포구 영등포·신길동에도 각 5명이 있었다. 이 벨트에는 6개 동에 성범죄자 32명이 살았다. 중랑구 면목동(9명)과 동대문구 장안동(4명)을 중심으로 한 거주벨트에도 9개 동에 성범죄자 31명이 있었다.

부산에서는 부산진구와 사상구, 북구를 중심으로 거주벨트가 형성됐다. 광주는 서구와 북구 일부 지역에 성범죄자가 많이 살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가 1명 이상 거주한 읍면동은 1256곳으로 전국 읍면동(행정동 기준) 3474곳의 36.2%였다.

최 의원은 “경찰이 수년간 자료를 축적해 왔으므로 성범죄자 거주벨트 존재를 몰랐을 리 없다. 아동·청소년 대상 범죄가 잇따르는데도 해당 지역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것은 경찰의 직무유기”라고 말했다.

특별기획팀=김호경 권기석 우성규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