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장구속 사과·배상하라”…日 “못해”

입력 2010-09-26 21:14

나포된 중국인 선장 잔치슝(詹其雄·41)씨 석방 이후 사과와 배상, 동중국해 가스전 개발 문제로 중·일간 갈등이 2라운드에 진입했다. 날선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물밑 대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일본의 백기투항을 얻어낸 중국은 일본의 자국어선 나포가 불법인 만큼 일본은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압박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5일 성명을 통해 “중국 어선과 선원에 대한 구금과 조사를 포함한 일본의 모든 사법조치는 불법이고 효력이 없는 것”이라며 “일본은 이번 사건에 대해 반드시 사과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의 강경대응은 이번 기회에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 분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외교부가 “댜오위다오와 부속도서는 오래전부터 중국 고유의 영토로 중국이 주권을 보유한 곳”이라고 거듭 강조한 것은 이를 반증한다. 중국이 추가로 댜오위다오 분쟁과 관련한 모종의 조치를 취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일본도 더 이상 물러나지 않겠다는 자세다.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는 26일 “센카쿠는 일본 고유의 영토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사죄나 배상은 상상할 수 없다”며 “(중국의 요구를) 수용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인 선장 석방 조치와 관련해서는 “검찰이 사건의 성격을 철저히 따지고, 국내법에 따라 판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동중국해 시라카바(白樺·중국명 춘샤오) 가스전 개발 문제도 또 다른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일본은 중국이 시라카바 가스전을 단독으로 개발할 움직임을 보인다며 사실이 확인될 경우 강경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26일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중국이 시라카바 가스전에 대해 단독 굴착을 시작한 것 아니냐며 최근 반입한 장비가 굴착용 파이프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앞서 간 총리도 지난 18일 긴급대책회의에서 “중국의 굴착 움직임이 명확해지면 어떠한 대항조치든 취할 것”임을 거듭 확인했다.

시라카바 가스전은 중국과 일본이 각자 설정한 배타적경제수역(EEZ)에 걸쳐 있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는 곳으로, 2008년 6월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한 뒤 최근 구체적인 협상을 벌여 왔으나 중국 어선 나포 이후 협상이 중단됐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일본 모두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해결이란 기본 원칙을 강조하고 있어 관계 개선과 갈등봉합 수순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베이징=오종석 특파원, 이동재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