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기상이변에… 사회·경제적 손실 급증
입력 2010-09-26 18:43
폭우 등 기상이변이 잦아지면서 사회·경제적 손실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6일 ‘최근 기상이변의 파급영향 및 과제’ 보고서에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이변 빈도와 강도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은 물론 농산물가격 급등, 산업 피해, 질병 증가 등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올 1월 폭설과 이상 한파에 이어 3∼4월에는 이상 저온현상, 6∼8월엔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렸고 추석연휴에는 집중호우로 서울 및 수도권 1만1000여 가구가 침수되기도 했다.
연구원은 특히 기상이변에 따른 재해 당 사망자 수가 1990년대 평균 7.6명에서 2000년대 17.5명으로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재해 피해액도 90년대에는 6조3000억원에서 2000년대에는 19조원으로 3배 이상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기상 상태에 직접 영향을 받는 신선채소의 물가지수는 올 들어 4월과 6, 7, 8월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각각 20% 넘게 올랐다. 아울러 산업 측면에서도 건설업, 물류업, 유통업 등 기상에 민감한 업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재난 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 피해액은 연간 12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가 늘면서 말라리아 발병환자 수의 경우 95년 139명에서 지난해에는 1345명으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정확한 기상예보를 위한 우리나라의 투자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 측은 우리나라 기상용 슈퍼컴퓨터는 2대에 불과한 반면 일본은 16대, 미국 277대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또 기상 관련 R&D 예산은 우리나라가 169억원인데 비해 미국은 3541억원으로 21배, 일본은 391억원으로 2.3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열 연구위원은 “일상화되는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대처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