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경운동연합 “서울 수방대책 재탕”
입력 2010-09-24 21:42
서울시가 2007년 중장기 수방대책을 발표해 놓고도 이를 실행하지 않아 물난리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23일 발표한 수방대책도 3년 전 대책의 재탕에 불과한 것으로 지적됐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24일 성명을 통해 “서울시는 하수관로와 펌프시설의 통수 및 배수용량을 현재 10년에 한 번 내릴 빈도의 강수량(시간당 75mm)에서 30년 빈도의 강수량(95mm)에 맞춰 확대한다는 내용의 수방대책을 발표했으나 이는 2007년 수립한 ‘수방능력향상 4개년 계획에 이미 담겨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연합은 “그러나 서울시 물관리국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신설 또는 증설된 빗물펌프장은 없고, 하수관로 등에 투자된 예산도 없었다”면서 “기존 계획이 정상적으로 추진됐더라면 이번 재난은 상당 부분 피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또 빗물펌프장 41개소 건설을 2011년까지 완료하고, 40개소의 저지대 빗물펌프장과 8개의 저류조를 각각 2500억원과 436억원을 투입해 현 시장 임기 중에 증설하겠다고 했으나 이 역시 재탕이란 의혹을 받고 있다. 2007년의 4개년 계획에도 4645억원을 들여 빗물펌프장 52개소를 신·증설해 배수처리능력을 현재 시간당 강수량 75mm에서 95mm로 끌어올리는 사업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또 하수관로 250㎞ 정비(4500억원), 하천제방 28㎞ 보강(656억원) 등에 모두 1조23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했었다.
환경연합은 “지난 3년간 홍수관리를 위한 정책과 예산은 실종상태였는데도 서울시 보도자료들은 4개년 계획이 정상적으로 추진 중인 것처럼 홍보해 왔다”며 “2010년 계획은 예산이 2007년 계획의 절반 이하에 불과하고 하수관로 등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어 한강르네상스 사업으로 예산이 전용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2007년에 발표한 빗물펌프장은 현재 9곳이 완료했고, 19곳은 공사 중이며, 13개소는 연말 공사발주를 위해 설계 중”이라고 해명했다.
임항 환경전문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