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빚 ‘605조’… 공기업 재무 건전성 적신호

입력 2010-09-23 18:13

정부와 비(非)금융 공기업이 이자를 내면서 짊어지는 부채가 600조원을 넘었다. 자산 대비 부채 규모가 커지면서 공공부문의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일반 정부와 비금융 공기업의 이자부 부채는 지난 6월 말 현재 605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자부 부채는 금융회사에 이자를 내야 하는 빚을 말한다.

이들 공공부문의 이자부 부채는 1년 전에 비해 77조9000억원(14.8%)이나 증가했다. 그러나 공공부문의 이자부 자산은 같은 기간 69조1000억원(8.7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 6월 말 현재 이자부 자산은 857조40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이자부 자산을 부채로 나눈 배율은 1.42배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08년 6월 말 이자부 자산/부채 배율은 1.84였는데 2009년 3월에는 1.54, 올해 들어 3월은 1.44로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공공부문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공기업의 작년 동기 대비 부채 증가율은 16.2%로 정부(13.9%)보다 높아 공공부문 재무 건전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민간부문의 재무 건전성은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개인과 비금융 민간기업의 이자부 자산/부채 배율은 2008년 말 2.10배와 0.77배에서 올해 6월 말 2.33배와 0.90배로 꾸준히 높아졌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정부의 재정 지출이 늘면서 공공부문의 빚이 늘었다”며 “민간부문의 빚이 공공부문으로 이동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