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공정·북한·G20’ 집중한다

입력 2010-09-23 20:35

이명박 대통령의 추석 이후 국정 운영 키워드는 ‘공정 사회’ ‘대북관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로 요약될 듯하다. 일단 청와대는 29일∼10월 1일로 예정된 김황식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사 청문회와 임명동의안 통과에 주력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3일 “지금 국회에서 제기되는 각종 의혹은 근거가 없다”면서 “김 후보자가 무난히 인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국정 운영 기조로 제시했던 공정 사회는 우선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드라이브로 구체화될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오는 29일 대기업 대표와 중소기업 대표들을 한자리에 모아 ‘대기업·중소기업 동반 발전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8일 중소기업 대표들과의 간담회, 13일 대기업 총수들과의 간담회에 이은 세 번째 대기업·중소기업 상생 행보다. 이 자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거래 관행 개선 방안과 기술 및 자금 지원 등 구체적인 대책들이 제시될 예정이라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다만 대기업 총수들을 또 부를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0월에는 대북관계에 변화가 예상된다. 북한이 28일 조선노동당대표자회를 개최할 경우 북한 권력 개편 방향이 드러나게 되고, 우리 정부도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10월 중으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도 열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근본적인 대북정책의 변화는 예상하기 힘들다. 이 대통령과 청와대 외교안보라인이 ‘북한의 천안함 사과와 핵 포기에 대한 가시적인 조치가 없다면 대규모 대북 지원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천안함 문제가 걸려 있어 대북기조 변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11월 11∼12일에 열리는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개최국 대통령 자격으로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들의 개발촉진과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글로벌 경제회복을 위한 거시정책 공조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김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는 대로 후임 외교통상부 장관을 서둘러 임명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공석이 된 감사원장은 연말까지 하복동 감사위원 대행체제를 유지키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지식경제부 장관도 정기국회 이후 교체할 생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기국회가 시작됐기 때문에 외교부 장관 이외의 다른 장관 인사는 없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