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해방지 대책… 빗물 저류조·펌프장 대폭 증설

입력 2010-09-23 17:54

서울시는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물난리를 겪은 자치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건의하는 한편 재발을 막기 위해 빗물 저류조와 펌프장을 대폭 증설하기로 했다.

시는 23일 오세훈 시장 주재로 남산 지하상황실에 있는 재난안전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수해 방지 중장기 대책’을 발표했다.

시는 빗물이 저지대 주택가 등지에 급속도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빗물을 담아두는 저류조 17곳과 펌프장 111곳을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다. 오 시장은 “집중호우로 인한 상습 피해지역인 강서·양천 지역을 포함한 서울 시내에 저류조와 펌프장을 설치해 호우 피해를 방지하고 침수 피해를 입은 자치구가 요청하면 중앙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적극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또 수해를 입은 중소상공인들에게 사업장당 100만원씩의 구호기금을 지급하고 최대 2억원까지 모두 100억원을 연 2%의 금리로 대출해 주기로 했다. 지원대상 공장은 상시종업원수 10명 미만, 연면적 330㎡ 이하 사업장이며 점포는 상시종업원 5명 미만이다. 시는 앞서 22일 재난지원금 56억원을 현금으로 긴급 배정했다.

한편 중앙재난대책본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수도권 등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1만4000여 가구가 침수피해를 입어 1만1919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특히 피해가 집중된 서울에서는 저지대 주택 9000여 가구가 침수됐으며, 지하철 4호선 서울역∼사당역 구간 등의 운행이 한때 중단됐고 도로 곳곳이 물에 잠겼다.

정부는 펌프차 등 소방장비 4000대와 소방인력 9270명,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만3000명을 투입해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재민들은 인근 학교와 교회 등에 임시 수용됐다가 대부분 귀가했다.

황일송 기자 il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