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자리 창출에 대기업 더 분발해야

입력 2010-09-23 17:16

고용시장이 회복세다.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8월보다 취업자는 38만6000명이 늘었고, 실업자는 7만4000명 줄었다. 경기호조세가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심각한 실업난이 빚어졌던 지난해의 기저효과 때문이다.

취업자 증가는 제조업, 보건 및 사회복지, 사업시설관리 및 지원 서비스 등 공공행정 이외의 부문이 주도했다. 공공행정 부문은 같은 기간 21만4000명 줄어든 반면 민간 부문에서 59만9000명이 늘었다. 고용시장이 민간 부문 위주로 회복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문제가 없는 건 아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로 조금 낮아졌으나 공식 실업률 3.3%를 크게 웃돈다. 구직단념자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만5000명 늘어난 22만3000명을 기록했다. 구직난은 여전하다는 얘기다.

올 생산가능인구가 약 50만명 늘어날 전망인 데다 고용률(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 비율)이 금융위기 이전인 60% 수준으로 회복되려면 신규 일자리가 75만개 이상 필요하다. 고용사정이 좋아지고 있으나 본격적인 회복까지는 한참 멀었다.

일자리 창출의 주축이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라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취업자는 지난 1년 새 7만3000명 줄었고 300인 미만 사업장은 38만6000명 늘었다.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 사정은 되레 악화일로다. 고용 없는 성장이 가시적으로 드러난 셈이다.

흔히 서비스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을 꾀한다고 하지만 전체 취업자의 76.6%(2009년)가 이미 서비스산업에 고용돼 있다. 게다가 서비스산업 근로자의 1인당 생산성은 제조업의 54.4%(2008년)에 불과하다. 막연한 서비스산업 일자리 창출 운운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가.

이제 고용정책의 초점은 중소기업에 맞춰야 한다. 아울러 서비스산업에 대해서도 산업분류를 세분화하고 각 분야의 특성을 더욱 특화할 수 있는 쪽으로 전략이 추진될 때 질 좋은 일자리도 함께 늘어날 터다.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인식부터 바꿔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