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全大 빅3에 듣는다-③ 정세균 前 대표] “2012년 민주당 대선 승리위해 최선 다할 것”

입력 2010-09-17 18:16


10·3 전당대회에 출마한 민주당 정세균 전 대표가 달라졌다. 연설이나 토론하는 모습이 과거와 확연히 다르다. 모호한 만연체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직설적인 표현들이 채워졌다. 16일 춘천에서 청주로 이동하는 정 전 대표의 승용차 안에서 이뤄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도 그는 당권 라이벌들의 약점을 단순 명쾌하게 집어냈다. 정동영 상임고문이 내세운 부유세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적다”고 비판했고, 손학규 상임고문보다 “정통성에서 우위”라고 잘라 말했다.

-대표 재임 시절을 평가한다면.

“나처럼 선당후사(先黨後私)한 사람은 드물 것이다. 항상 당을 앞세웠고, 다른 사람들의 비판도 경청하려고 노력했다. 동료 의원과 지역위원장, 지방선거 당선자들로부터 어느 정도 신뢰를 얻고 있는 정치인이라고 생각한다. 이게 자부심이다.”

-당내 계파 갈등이 여전하다.

“민주당이 분열돼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 이명박 정권과 싸울 때는 당이 하나가 됐고, 선거 때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당내 권력투쟁 할 때만 분파가 있는 것이다.”

-대표·최고위원 분리선거에서 통합 선거로 바뀌면서 비주류 인사들의 지도부 진출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당내 구심력보다 원심력이 더 커질 것이라는 걱정이 있다. 그러나 수에 밀려 (전대 룰이) 개악이 됐는데 어쩌겠나. 우선 주어진 여건에 최선을 다할 뿐이다. 소위 말하는 비주류 측 인사도 일단 지도부에 입성하면 선당후사할 것이라고 믿는다.”

-다른 후보들에 비해 집권의지가 약하다는 비판이 있다.

“나도 꿈이 있다. 서민들도 희망을 가질 수 있고 또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있는 기회의 대한민국을 만들고 싶다. 하지만 그것은 나의 꿈이다. 절체절명의 과제이자 더 큰 꿈은 2012년 민주당 정권을 만드는 것이다. 큰 꿈을 이루기 위해 국민들이 나 보고 기수가 되라고 하면 기수가 되고 길잡이 역할을 하라고 하면 그것을 하겠다.”

-정 고문의 공약인 부유세를 평가해 달라.

“부자들의 세금을 깎아주고 있는 상황에서 세금을 신설한다면 누가 좋아하겠나. 우선 깎아준 것이라도 원상회복하는 게 우선이다. 부유세는 한나라당이 무조건 반대할 것이고, 이중과세 금지의 원칙에도 위배될 소지가 있다. 실현 가능성이 매우 불투명하다. 당론은 부자감세 철회다.”

-486그룹이 독립정치를 하겠다고 하는데.

“486 인사들이 곧 50대가 된다. 역할을 할 때가 됐다. 자기 책임하에 목소리를 내는 것도 환영한다. 단일화 문제와 관련해서 같은 후보끼리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 최재성 후보 거취와 관련해서도 옆에서 얘기한 적이 없다.”

-야권 연대 구상은.

“지난 2년 동안 다른 야당들과 접촉을 많이 해왔다. 그러면서 신뢰를 쌓아왔다. 대표가 되면 즉시 실무기구를 가동할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연대가 어려워진다. 각자 뛰는 사람들이 생기기 때문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큰 틀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개헌을 추진할 생각인가.

“김형오 국회의장 시절에 국회 개헌특위에 민주당만 사람을 안 보냈다. 정부 국회 지방정부까지 한나라당이 장악한 상황에서 보수와 진보가 대등하게 개헌을 논의할 수 있겠느냐는 생각 때문이었다.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 그때 논의하자고 했다. 이제 개헌 논의는 할 수 있다. 단, 한나라당이 단일안을 가져오는 게 우선돼야 한다. 정략적인 개헌 논의에 들러리 서지는 않겠다.”

-당과 민주당 대권 후보 지지율 제고 전략은 뭔가.

“정당이 신뢰를 쌓으면 지지율은 자연스럽게 올라간다. 아직 민주당에는 대권후보가 안 보이는 상황이다. 우선 판을 키워야 한다. 당내 몇 사람에 외부 사람을 추가시켜 7명 정도는 돼야 한다. 치열하게 경쟁해서 2012년 총선 끝난 뒤 키 재기를 하면 된다.”

-정 고문, 손 고문과의 차별화 포인트는.

“정통성과 정체성이다. 그리고 과거의 성과다. 모두 대표를 한 사람이어서 비교가 가능하지 않느냐.”

-현 정부의 공과를 말한다면.

“눈을 씻고 봐도 잘한 게 없다. 민주주의를 후퇴시킨 게 가장 큰 문제다. 4대강 밀어붙이기나 부자감세는 바로잡을 수 있는 것들이다. 대의민주주의를 후퇴시켜 희생자와 억울한 사람이 생겼고, 우리 사회를 병들게 했다.”

춘천 청주=한장희 강주화 기자 jhhan@kmib.co.kr